편집
13,127
번
잔글 (→외상성) |
잔글 (→외상성)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외상성 === | === 외상성 === | ||
다양한 외상에 의해 윤부 줄기세포가 손상받을 수 있다. 원인은 산/알칼리화상, 열 손상 그리고 의인성을 포함한 물리적 손상 등이 있다. 외상성 윤부 줄기세포 손상의 경우 외상 자체로 인해 줄기세포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차적인 염증이 추가 손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외상 후 염증으로 인한 윤부 줄기세포 손상은 얄칼리 화상에서 더 심각하다. | 다양한 외상에 의해 윤부 줄기세포가 손상받을 수 있다. 원인은 산/알칼리화상, 열 손상 그리고 의인성을 포함한 물리적 손상 등이 있다. 외상성 윤부 줄기세포 손상의 경우 외상 자체로 인해 줄기세포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차적인 염증이 추가 손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외상 후 염증으로 인한 윤부 줄기세포 손상은 얄칼리 화상에서 더 심각하다. | ||
* 산, 알칼리 화상 : 알칼리는 안구 표면뿐만 아니라 안내 구조에도 파괴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알칼리는 표면 세포들에 심각한 손상을 입힌 후 눈의 안쪽 공간으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차적으로 급성 및 만성 염증을 일으켜 손상을 지속시킨다. 암모니아와 양잿물 (수산화 나트륨; NaOH) 은 각막을 쉽게 침투하여 심각한 손상을 일으키지만, 소석회 (수산화 칼슘; calcium hydroxide) 는 상대적으로 침투력이 낮아 손상을 덜 일으킨다. 하지만 눈물과 만나 침착물을 형성하므로 치료 시 침착 물질들을 잘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 화상은 알칼리 화상만큼 흔하지 않은데, 산은 단백질의 침착과 변성을 일으켜 방어막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손상이 제한된다. 알칼리 및 산에 의한 안손상의 정도는 원인 물질, pH, 농도, 양 그리고 노출 시간 등과 관련 있다. 알칼리와 산은 원칙적으로 안구 표면의 모든 구조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윤부의 손상 정도는 윤부 주위 허혈 (perilimbal ischemia) 로 평가할 수 있으나, 손상이 생기더라도 정상적인 각막의 상피화에 충분한 윤부 줄기세포가 생존해 있을 수 있다. 윤부 줄기세포가 정상적인 각막의 상피화에 불충분한 경우 각막의 | * 산, 알칼리 화상 : 알칼리는 안구 표면뿐만 아니라 안내 구조에도 파괴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알칼리는 표면 세포들에 심각한 손상을 입힌 후 눈의 안쪽 공간으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차적으로 급성 및 만성 염증을 일으켜 손상을 지속시킨다. 암모니아와 양잿물 (수산화 나트륨; NaOH) 은 각막을 쉽게 침투하여 심각한 손상을 일으키지만, 소석회 (수산화 칼슘; calcium hydroxide) 는 상대적으로 침투력이 낮아 손상을 덜 일으킨다. 하지만 눈물과 만나 침착물을 형성하므로 치료 시 침착 물질들을 잘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 화상은 알칼리 화상만큼 흔하지 않은데, 산은 단백질의 침착과 변성을 일으켜 방어막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손상이 제한된다. 알칼리 및 산에 의한 안손상의 정도는 원인 물질, pH, 농도, 양 그리고 노출 시간 등과 관련 있다. 알칼리와 산은 원칙적으로 안구 표면의 모든 구조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윤부의 손상 정도는 윤부 주위 허혈 (perilimbal ischemia) 로 평가할 수 있으나, 손상이 생기더라도 정상적인 각막의 상피화에 충분한 윤부 줄기세포가 생존해 있을 수 있다. 윤부 줄기세포가 정상적인 각막의 상피화에 불충분한 경우 각막의 결막화가 발생한다. | ||
* 열 손상 : 열손상은 화염에 의한 불꽃 화상과, 뜨거운 물체에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 화상으로 구분된다. 얼굴과 눈꺼풀의 불꽃 화상은 흔하지만 각막과 줄기 세포가 불꽃에 의해 직접 손상되는 경우는 눈꺼풀의 방어 기전으로 인해 드물다. 대부분 각막의 열손상은 접촉 화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대개 손상 부위가 작고 국소적이다. 그러므로 각막 윤부에 영향을 끼치더라도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줄기세포가 손상되더라도 주변의 건강한 줄기세포가 역할을 대체한다. 드물지만 큰 접촉 화상이 있는 경우 윤부 줄기세포의 심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차적인 염증 반응의 정도에 띠라 심한 경과를 보일 수 있다. | * 열 손상 : 열손상은 화염에 의한 불꽃 화상과, 뜨거운 물체에 접촉하여 발생하는 접촉 화상으로 구분된다. 얼굴과 눈꺼풀의 불꽃 화상은 흔하지만 각막과 줄기 세포가 불꽃에 의해 직접 손상되는 경우는 눈꺼풀의 방어 기전으로 인해 드물다. 대부분 각막의 열손상은 접촉 화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대개 손상 부위가 작고 국소적이다. 그러므로 각막 윤부에 영향을 끼치더라도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줄기세포가 손상되더라도 주변의 건강한 줄기세포가 역할을 대체한다. 드물지만 큰 접촉 화상이 있는 경우 윤부 줄기세포의 심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차적인 염증 반응의 정도에 띠라 심한 경과를 보일 수 있다. | ||
* 의인성 윤부 줄기세포 결핍 : 각막 윤부를 포함하는 수술이 반복되어도 윤부 줄기세포 결핍이 유발될 수 있다. 특히 상윤부의 수술적 처치의 경우 상윤부가 다른 부위에 비해 줄기세포가 풍부하기 때문에 이 부위의 수술 창상의 길이와 깊이 에 따라 줄기세포 손상이 영향을 받는다. 또한 위눈꺼풀로 인한 기계적 힘이 국소적인 허혈을 일으켜 추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수술 후 [[필로카르핀]], β 차단제, 항생제 그리고 스테로이드 등과 같은 점안약을 을 장기간 사용해도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윤부 줄기세포 결핍 양상은 다른 원인의 경우와 달리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서서히 진행하고, 염증 반응이 심하지 않으며, 상피병증의 양상이 수술 창상 부위로부터 부채꼴 모양으로 나타난다. | * 의인성 윤부 줄기세포 결핍 : 각막 윤부를 포함하는 수술이 반복되어도 윤부 줄기세포 결핍이 유발될 수 있다. 특히 상윤부의 수술적 처치의 경우 상윤부가 다른 부위에 비해 줄기세포가 풍부하기 때문에 이 부위의 수술 창상의 길이와 깊이 에 따라 줄기세포 손상이 영향을 받는다. 또한 위눈꺼풀로 인한 기계적 힘이 국소적인 허혈을 일으켜 추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수술 후 [[필로카르핀]], β 차단제, 항생제 그리고 스테로이드 등과 같은 점안약을 을 장기간 사용해도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윤부 줄기세포 결핍 양상은 다른 원인의 경우와 달리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서서히 진행하고, 염증 반응이 심하지 않으며, 상피병증의 양상이 수술 창상 부위로부터 부채꼴 모양으로 나타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