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식/합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753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6월 9일 (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동공 이분은 각막 절개도가 끝까지 작동하지 않고 중간에서 멈추어 각막 절개가 불완전하게 되는 것이다. 기계 조립이 잘못되었거나 이물질이 낀 경우, 수술자가 기계 작동을 일찍 중단한 경우에 발생한다. 기계를 조립할 때 주의가 필요하며, 수술 직전 반드시 테스트를 한 후 시술하여야 한다. 최근의 기계는 조립식이 아니라 일체식이므로 이 합병증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 합병증이 발생하면 각막 절편을 들추고 각막절개의 진행 정도를 살펴봐서 거의 완전한 각막 절편이 만들어졌으면 그대로 엑시머 레이저 조사를 시행해도 무방하지만, 각막 절편이 작거나 판단이 어려우면 일단 다시 덮고 수술을 중단해야 한다. 재수술은 3개월 이상 기다린 후에 하는데, PRK나 [[라섹|LASEK]] 이 안전하다 각막절개도가 멈춘 부위에 희미한 혼탁선이 남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시력에 지장을 주지는 않는다.
동공 이분은 각막 절개도가 끝까지 작동하지 않고 중간에서 멈추어 각막 절개가 불완전하게 되는 것이다. 기계 조립이 잘못되었거나 이물질이 낀 경우, 수술자가 기계 작동을 일찍 중단한 경우에 발생한다. 기계를 조립할 때 주의가 필요하며, 수술 직전 반드시 테스트를 한 후 시술하여야 한다. 최근의 기계는 조립식이 아니라 일체식이므로 이 합병증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 합병증이 발생하면 각막 절편을 들추고 각막절개의 진행 정도를 살펴봐서 거의 완전한 각막 절편이 만들어졌으면 그대로 엑시머 레이저 조사를 시행해도 무방하지만, 각막 절편이 작거나 판단이 어려우면 일단 다시 덮고 수술을 중단해야 한다. 재수술은 3개월 이상 기다린 후에 하는데, PRK나 [[라섹|LASEK]] 이 안전하다 각막절개도가 멈춘 부위에 희미한 혼탁선이 남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시력에 지장을 주지는 않는다.
=== 불규칙하거나 단추 구멍이 생긴 각막 절편 ===
=== 불규칙하거나 단추 구멍이 생긴 각막 절편 ===
기계의 흡입압이 부족한 상태에서 수술을 진행하면 각막 절편이 불규칙하거나 단추구멍이 발생할 수 있다. 절개 직전 충분한 압력이 걸려 있는지 Barraquer 안압계로 살피고 장비에 있는 압력계로 다시 한 번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각막 굴절력이 50D 이상인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고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단추 구멍이 있는 각막 절편은 다루기가 어렵다. 제자리를 벗어난 각막절편을 되돌려놓을 때는 절편 밑으로 평형 염액을 관류시키면서 위치를 잡아주는 것이 편리하다. 재수술은 3개월 이상 기다린 후에 하며, 각막 절편의 두께를 첫 수술보다 더 두껍게 해야 한다.
=== 각막 천공 ===
=== 각막 천공 ===
=== 각막 절편 유리 ===
=== 각막 절편 유리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