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식/합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1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6월 9일 (화)
잔글
42번째 줄: 42번째 줄:
=== 근시 퇴행 ===
=== 근시 퇴행 ===
수술 후 일정 기간이 지난 다음 근시가 다시 생기는 경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수술 직후에 약간의 퇴행이 있으나 중등도 근시는 수술 후 1~3개월, 고도 근시는 6개월이 지나면 굴절 상태가 안정된다. 근시 퇴행의 원인으로는 각막 상피 증식과 기질의 재형성이 있으며, 드물게 고도 근시에서 안축장이 계속 늘어나면서 생길 수도 있다.{{br}}근시 퇴행으로 재수술이 필요할 때는 첫 번째 수술 후 6개월 이상의 경과 관찰을 통해 굴절 이상이 안정되어 있어야 하며, 재수술 후에도 절편을 제외한 잔여 기질의 두께가 250㎛ 이상이 되어야 하고 전체 두께가 410㎛ 이상이 되는지 확인한 후에 시행해야 각막 확장증이나 원추 각막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br}}보강 수술 방법으로는 각막 절편을 들고 기질 바닥에 엑시머 레이저를 조사한 후 다시 덮는 방법과 재절개가 있으며, PRK 등 표면 절제를 할 수도 있다. 보강 수술 방법에 따른 수술의 결과에는 차이가 없다.
수술 후 일정 기간이 지난 다음 근시가 다시 생기는 경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수술 직후에 약간의 퇴행이 있으나 중등도 근시는 수술 후 1~3개월, 고도 근시는 6개월이 지나면 굴절 상태가 안정된다. 근시 퇴행의 원인으로는 각막 상피 증식과 기질의 재형성이 있으며, 드물게 고도 근시에서 안축장이 계속 늘어나면서 생길 수도 있다.{{br}}근시 퇴행으로 재수술이 필요할 때는 첫 번째 수술 후 6개월 이상의 경과 관찰을 통해 굴절 이상이 안정되어 있어야 하며, 재수술 후에도 절편을 제외한 잔여 기질의 두께가 250㎛ 이상이 되어야 하고 전체 두께가 410㎛ 이상이 되는지 확인한 후에 시행해야 각막 확장증이나 원추 각막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br}}보강 수술 방법으로는 각막 절편을 들고 기질 바닥에 엑시머 레이저를 조사한 후 다시 덮는 방법과 재절개가 있으며, PRK 등 표면 절제를 할 수도 있다. 보강 수술 방법에 따른 수술의 결과에는 차이가 없다.
=== 각막 확장증 ===
=== 각막 확장증 (keratectasia following LASIK) ===
각막 확장증 (keratectasia folloowing LASIK) 은 비교적 드문 합병증이며, 0.66%의 확률을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 이 연구에 의하면 수술전 8.0D 이하의 근시이거나 각막 절편을 제외한 잔여 각막 두께가 325㎛ 이상인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한다. 한편 대부분의 각막 확장증은 수술 후 전체 두께가 400㎛ 이하이며 잔여 각막이 250㎛ 이하인 경우 발생했다고 하나, 어떤 위험인자 없이 각막 확장증이 생긴 경우도 보고되고 있다.{{br}}각막확장증이 생기면 보통 근시 퇴행을 보이며, 나안 및 교정 시력 저하가 나타나고 부정 난시를 동반하게 된다. 각막 지형도에서 부정 난시를 보이고 보통 각막 하부에 비정상적으로 큰 각막 굴절력 (steepening) 이 나타난다. Orbscan으로는 후면 각막 확장을 볼 수 있다. 조직 검사 상 각막 내피세포에는 이상이 보이지 않으나 상피세포층 파괴, 보우만막 파괴와 주름, 액포와 불규칙한 기질층이 나타나게 된다. 치료가 매우 어려우며, 먼저 하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기도 하지만, 진행되면 결국 [[원추 각막]]에 준한 처치가 필요하다.{{br}}각막확장증이 생기면 환자와 의사 모두 큰 고통을 겪게 되므로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원추 각막이 있거나 각막을 얇게 하는 질환이 있으면 수술해서는 안 된다. 수술 후 남는 잔여 기질의 두께가 적어도 250㎛ 이상이어야 하는데, 최근에는 300㎛를 최소 두께로 정하는 경향이 있다. 각막 절편의 두께가 160㎛ 이라면 수술 후 전체 두께가 460㎛, 적어도 410㎛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비교적 드문 합병증이며, 0.66%의 확률을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 이 연구에 의하면 수술전 8.0D 이하의 근시이거나 각막 절편을 제외한 잔여 각막 두께가 325㎛ 이상인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한다. 한편 대부분의 각막 확장증은 수술 후 전체 두께가 400㎛ 이하이며 잔여 각막이 250㎛ 이하인 경우 발생했다고 하나, 어떤 위험인자 없이 각막 확장증이 생긴 경우도 보고되고 있다.{{br}}각막확장증이 생기면 보통 근시 퇴행을 보이며, 나안 및 교정 시력 저하가 나타나고 부정 난시를 동반하게 된다. 각막 지형도에서 부정 난시를 보이고 보통 각막 하부에 비정상적으로 큰 각막 굴절력 (steepening) 이 나타난다. Orbscan으로는 후면 각막 확장을 볼 수 있다. 조직 검사 상 각막 내피세포에는 이상이 보이지 않으나 상피세포층 파괴, 보우만막 파괴와 주름, 액포와 불규칙한 기질층이 나타나게 된다. 치료가 매우 어려우며, 먼저 하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기도 하지만, 진행되면 결국 [[원추 각막]]에 준한 처치가 필요하다.{{br}}각막 확장증이 생기면 환자와 의사 모두 큰 고통을 겪게 되므로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원추 각막이 있거나 각막을 얇게 하는 질환이 있으면 수술해서는 안 된다. 수술 후 남는 잔여 기질의 두께가 적어도 250㎛ 이상이어야 하는데, 최근에는 300㎛를 최소 두께로 정하는 경향이 있다. 각막 절편의 두께가 160㎛ 이라면 수술 후 전체 두께가 460㎛, 적어도 410㎛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 술 후 안구 건조증 ===
=== 술 후 안구 건조증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