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섹/합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2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6월 10일 (수)
잔글
13번째 줄: 13번째 줄:
== 저교정 ==
== 저교정 ==
== 과교정 (overcorrection) ==
== 과교정 (overcorrection) ==
과교정은 드물지 않으며 수개월에서 6개월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해결된다. 지속되는 과교정은 고연령, 높은 교정량, 낮은 수술실 습도 및 점안 스테로
과교정은 드물지 않으며 수개월에서 6개월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해결된다. 지속되는 과교정은 고연령, 높은 교정량, 낮은 수술실 습도 및 점안 스테로이드나 [[미토마이신 씨|마이토마이신 C]] 사용과 관련이 있다. 원인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도 많은데, 이는 대개 환자의 창상치유 특성에 의한 경우이다. 과교정 치료로는 점안 스테로이드 사용을 중지하며 인공 눈물을 처방한다. [[필로카르핀]] 0.5%로 조절력을 항진시켜 원시 정도를 낮추는 원리를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0.5D 이내의 경미한 저, 과교정에서는 PRK 치료를 상피 위에 바로 시행함으로써 교정할 수도 있다. Conductive keratoplasty (ViewPoint CK System, Refratec, USA) 도 근시 PRK 후 과교정된 원시를 치료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이드나 [[미토마이신 씨|마이토마이신 C]] 사용과 관련이 있다. 원인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도 많은데, 이는 대개 환자의 창상치유 특성에 의한 경우이다. 과교정 치료로는 점안 스테로이드 사용을 중지하며 인공 눈물을 처방한다. [[필로카르핀]] 0.5%로 조절력을 항진시켜 원시 정도를 낮추는 원리를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0.5D 이내의 경미한 저, 과교정에서는 PRK 치료를 상피 위에 바로 시행함으로써 교정할 수도 있다. Conductive keratoplasty (ViewPoint CK System, Refratec, USA) 도 근시 PRK 후 과교정된 원시를 치료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 각막 혼탁 및 근시 퇴행 ==
== 각막 혼탁 및 근시 퇴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