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저교정)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중심부 융기 == | == 중심부 융기 == | ||
== 불규칙 난시 == | == 불규칙 난시 == | ||
== 저교정 == | == 저교정 (undercorrection) == | ||
저교정은 PRK 후 6~12주에 목표 교정량의 0.75D 이내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로 정의할 수 있다. 원인으로는 잘못된 굴절치 입력, 부정확한 laser calibration. laser software version, 수술실의 온도와 습도, 주시 협조도의 부족, 불충분한 상피 제거, 각막 기질 표면의 과도한 수분 및 창상 치유의 변이 등을 들 수 있 | |||
다. 재수술은 대부분 점안 스테로이드 사용을 중지한 채로 굴절치가 안정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수술 시 상피 제거 후에는 기질 표면에 대한 조작을 최소화하여 기질 수화에 의한 영향을 피하고 매끈한 절제면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 |||
== 과교정 (overcorrection) == | == 과교정 (overcorrection) == | ||
과교정은 드물지 않으며 수개월에서 6개월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해결된다. 지속되는 과교정은 고연령, 높은 교정량, 낮은 수술실 습도 및 점안 스테로이드나 [[미토마이신 씨|마이토마이신 C]] 사용과 관련이 있다. 원인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도 많은데, 이는 대개 환자의 창상치유 특성에 의한 경우이다. 과교정 치료로는 점안 스테로이드 사용을 중지하며 인공 눈물을 처방한다. [[필로카르핀]] 0.5%로 조절력을 항진시켜 원시 정도를 낮추는 원리를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0.5D 이내의 경미한 저, 과교정에서는 PRK 치료를 상피 위에 바로 시행함으로써 교정할 수도 있다. Conductive keratoplasty (ViewPoint CK System, Refratec, USA) 도 근시 PRK 후 과교정된 원시를 치료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 과교정은 드물지 않으며 수개월에서 6개월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해결된다. 지속되는 과교정은 고연령, 높은 교정량, 낮은 수술실 습도 및 점안 스테로이드나 [[미토마이신 씨|마이토마이신 C]] 사용과 관련이 있다. 원인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도 많은데, 이는 대개 환자의 창상치유 특성에 의한 경우이다. 과교정 치료로는 점안 스테로이드 사용을 중지하며 인공 눈물을 처방한다. [[필로카르핀]] 0.5%로 조절력을 항진시켜 원시 정도를 낮추는 원리를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0.5D 이내의 경미한 저, 과교정에서는 PRK 치료를 상피 위에 바로 시행함으로써 교정할 수도 있다. Conductive keratoplasty (ViewPoint CK System, Refratec, USA) 도 근시 PRK 후 과교정된 원시를 치료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