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섹/합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873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6월 10일 (수)
잔글
11번째 줄: 11번째 줄:
== 중심부 융기 ==
== 중심부 융기 ==
== 불규칙 난시 ==
== 불규칙 난시 ==
PRK 후 불규칙 난시의 원인으로는 수술 전 비대칭 난시 (32~43%), 절제 중심 이탈, 중심부 융기, 비정형 원추 각막 및 절제 주변부 혼탁 등을 들 수 있다. 불규칙 난시는 최대 교정 시력 저하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며, 환자는 눈부심, 달무리, starburst, 단안 복시 및 대비 감도의 감소를 호소한다. 파면 고위 수차 검사를 통해 발생한 고위 수차의 양을 알 수 있으며, point spread function 에서 시력의 질적 변화를 가시화할 수 있다. 만약 고도근시 이면서 PRK 재수술을 고려할 경우에는 각막 후방 형태 검사를 통해 후방 확장 (postenor ectasia) 이 있는지를 반드시 감별해야 한다.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에는 파면 고위수차 유도 표면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저교정 (undercorrection) ==
== 저교정 (undercorrection) ==
저교정은 PRK 후 6~12주에 목표 교정량의 0.75D 이내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로 정의할 수 있다. 원인으로는 잘못된 굴절치 입력, 부정확한 laser calibration. laser software version, 수술실의 온도와 습도, 주시 협조도의 부족, 불충분한 상피 제거, 각막 기질 표면의 과도한 수분 및 창상 치유의 변이 등을 들 수 있  
저교정은 PRK 후 6~12주에 목표 교정량의 0.75D 이내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로 정의할 수 있다. 원인으로는 잘못된 굴절치 입력, 부정확한 laser calibration. laser software version, 수술실의 온도와 습도, 주시 협조도의 부족, 불충분한 상피 제거, 각막 기질 표면의 과도한 수분 및 창상 치유의 변이 등을 들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