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불규칙 난시) |
잔글 (→중심부 융기)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PRK 후 드물게 무균성 또는 면역 관련 각막 침윤이 나타날 수 있는데, 주로 수술 후 2일째부터 주변 각막에 단일 또는 여러 개의 병변이 나타나며 환자는 눈 통증과 충혈의 증가를 호소한다. 특히 눈꺼풀염을 동반한 환자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 점안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치료용 렌즈와 점안 NSAIDs 만을 수술 후에 적용한 경우에 생길 수 있으므로 점안 NSAIDs 는 수술 후 48시간 까지만 사용하고 점안 스테로이드 치료를 동반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 PRK 후 드물게 무균성 또는 면역 관련 각막 침윤이 나타날 수 있는데, 주로 수술 후 2일째부터 주변 각막에 단일 또는 여러 개의 병변이 나타나며 환자는 눈 통증과 충혈의 증가를 호소한다. 특히 눈꺼풀염을 동반한 환자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 점안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치료용 렌즈와 점안 NSAIDs 만을 수술 후에 적용한 경우에 생길 수 있으므로 점안 NSAIDs 는 수술 후 48시간 까지만 사용하고 점안 스테로이드 치료를 동반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 ||
== 감염 각막염 == | == 감염 각막염 == | ||
== 중심부 융기 == | == 중심부 융기 (central islands) == | ||
중심부 융기는 연구마다 정의와 빈도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나 각막 형태 검사에서 절제 중심을 포함하는 중심부 곡률값이 주변부에 비해 3D 이상 높으며 직경이 1.5mm 이상인 부위로 정의할 수 있다. 중심부 융기는 나안 및 교정 시력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으며, 환자는 주관적으로 흐려보임과 불빛 주변 달무리 현상 등 시력의 질적 저하를 호소하게 된다. 수술 후 초기에 발생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므로 대개 특별한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드물다. 예전에 broad beam 방식의 엑시머 레이저 기종에서 교정량이 많거나 광학부가 넓거나 수술 후 상피결손이 지속된 경우 등에서 발생하였으나, 최근의 발전된 엑시머레이저 장비에서는 드물다. | |||
== 불규칙 난시 == | == 불규칙 난시 == | ||
PRK 후 불규칙 난시의 원인으로는 수술 전 비대칭 난시 (32~43%), 절제 중심 이탈, 중심부 융기, 비정형 원추 각막 및 절제 주변부 혼탁 등을 들 수 있다. 불규칙 난시는 최대 교정 시력 저하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며, 환자는 눈부심, 달무리, starburst, 단안 복시 및 대비 감도의 감소를 호소한다. 파면 고위 수차 검사를 통해 발생한 고위 수차의 양을 알 수 있으며, point spread function 에서 시력의 질적 변화를 가시화할 수 있다. 만약 고도근시 이면서 PRK 재수술을 고려할 경우에는 각막 후방 형태 검사를 통해 후방 확장 (postenor ectasia) 이 있는지를 반드시 감별해야 한다.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에는 파면 고위수차 유도 표면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RK 후 불규칙 난시의 원인으로는 수술 전 비대칭 난시 (32~43%), 절제 중심 이탈, 중심부 융기, 비정형 원추 각막 및 절제 주변부 혼탁 등을 들 수 있다. 불규칙 난시는 최대 교정 시력 저하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며, 환자는 눈부심, 달무리, starburst, 단안 복시 및 대비 감도의 감소를 호소한다. 파면 고위 수차 검사를 통해 발생한 고위 수차의 양을 알 수 있으며, point spread function 에서 시력의 질적 변화를 가시화할 수 있다. 만약 고도근시 이면서 PRK 재수술을 고려할 경우에는 각막 후방 형태 검사를 통해 후방 확장 (postenor ectasia) 이 있는지를 반드시 감별해야 한다.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에는 파면 고위수차 유도 표면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