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마토프로스트: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37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6월 14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비마토프로스트 (bimatoprost) 는 내인성 안압 하강 물질인 prostamide (fatty acid amide) 의 합성 유도체로 PG F2α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다른 약제...)
 
잔글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PG 계열의 약물은 주로 포도막-공막 유출을 증가시켜 안압을 하강시키나, bimatoprost는 이러한 기전 외에도 섬유주-쉴렘관 유출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PG 계열의 약물은 주로 포도막-공막 유출을 증가시켜 안압을 하강시키나, bimatoprost는 이러한 기전 외에도 섬유주-쉴렘관 유출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분류 ==
== 분류 ==
* 루미간 (Lumigan) 점안액 0.03% (한국 엘러간)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루미간 (Lumigan) 점안액 0.01% (한국 엘러간)
|+표. 라타노프로스트 (bimatoprost 0.1mg/ml) 약제의 종류
|-
!제품명||용량||제조사||약가
|-
|루미간 0.01%||3ml||한국 앨러간||24,414원/3ml
|}
== 효과 ==
== 효과 ==
0.03% bimatoprost와 0.5% timolol의 효과를 개방각 녹내장과 고안압증 환자를 대상으로 비교한 연구에 의하면 0.03% bimatoprost 하루 1회 점안으로 8.1mmHg (33%) 의 안압 하강 효과를 보여 0.5% timolol 2회 점안 5.6mmHg (23%) 에 의한 효과보다 우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개방각 녹내장 및 고안압증 환자에서 bimatoprost와 latanoprost를 비교한 실험 에 의하면 개방각 녹내장과 고안압증 환자에서 각각 5.9~8.9 mmHg (25~34%) 과 4.4~7.0 mmHg (19~30%) 의 안압 하강 효과를 보여 latanoprost와 비슷한 안압 하강 효과를 보인다고 보고되었다.
0.03% bimatoprost와 0.5% [[티몰롤|timolol]]의 효과를 개방각 녹내장과 고안압증 환자를 대상으로 비교한 연구에 의하면 0.03% bimatoprost 하루 1회 점안으로 8.1mmHg (33%) 의 안압 하강 효과를 보여 0.5% timolol 2회 점안 5.6mmHg (23%) 에 의한 효과보다 우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개방각 녹내장 및 고안압증 환자에서 bimatoprost와 latanoprost를 비교한 실험 에 의하면 개방각 녹내장과 고안압증 환자에서 각각 5.9~8.9 mmHg (25~34%) 과 4.4~7.0 mmHg (19~30%) 의 안압 하강 효과를 보여 latanoprost와 비슷한 안압 하강 효과를 보인다고 보고되었다.
{{참고|녹내장}}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