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9
번
(새 문서: 휴즈 수술법 (Hughes procedure) 은 윗눈꺼풀에서 만든 눈꺼풀판-결막 피판 (tarsoconjunctival flap) 을 아래로 내려서 아랫눈꺼풀 결손부의 뒤층판을...)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휴즈 수술법 (Hughes procedure) 은 윗눈꺼풀에서 만든 눈꺼풀판-결막 피판 (tarsoconjunctival flap) 을 아래로 내려서 아랫눈꺼풀 결손부의 뒤층판을 재건하고 결손부의 앞층판은 근육-피부 앞옮김 피판 (mucocutaneous advancement flap) 이나 전층 피부 이식으로 재건하는 방법이다. 1차 수술 후 윗, 아랫눈꺼풀이 서로 봉합되어 있으므로 앞이 가려서 볼 수가 없으며, 4~6주 후에 2차 수술로 윗, 아랫눈꺼풀을 분리해 주어야 한다. | <b>휴즈 수술법 (Hughes procedure)</b> 은 윗눈꺼풀에서 만든 눈꺼풀판-결막 피판 (tarsoconjunctival flap) 을 아래로 내려서 아랫눈꺼풀 결손부의 뒤층판을 재건하고 결손부의 앞층판은 근육-피부 앞옮김 피판 (mucocutaneous advancement flap) 이나 전층 피부 이식으로 재건하는 방법이다. 1차 수술 후 윗, 아랫눈꺼풀이 서로 봉합되어 있으므로 앞이 가려서 볼 수가 없으며, 4~6주 후에 2차 수술로 윗, 아랫눈꺼풀을 분리해 주어야 한다. | ||
== 장점 == | == 장점 == | ||
* 미용적으론 기능적으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 | * 미용적으론 기능적으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근육-피부 앞옮김 피판 : 결손부 주위 아랫눈꺼풀의 피부와 근육을 박리한 후 만들어진 근육-피부 피판을 눈꺼풀판-결막 피판 앞으로 끌어올린 후 가장자리의 주변의 눈꺼풀 피부와 7-0 black silk를 사용하여 봉합한다. 이 경우 충분하게 박리하여 결손 부위의 긴장을 해소시켜야 하며 결손 부위의 양쪽 아래 끝에 삼각형의 이완 절제(Burrow's traingle)를 실시하여 개귀모양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 :- 근육-피부 앞옮김 피판 : 결손부 주위 아랫눈꺼풀의 피부와 근육을 박리한 후 만들어진 근육-피부 피판을 눈꺼풀판-결막 피판 앞으로 끌어올린 후 가장자리의 주변의 눈꺼풀 피부와 7-0 black silk를 사용하여 봉합한다. 이 경우 충분하게 박리하여 결손 부위의 긴장을 해소시켜야 하며 결손 부위의 양쪽 아래 끝에 삼각형의 이완 절제(Burrow's traingle)를 실시하여 개귀모양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 ||
:6. 2차 수술 : | :6. 2차 수술 : | ||
== 부작용 및 합병증 == | == 부작용 및 합병증 == | ||
* 아랫눈꺼풀의 이완 | * 아랫눈꺼풀의 이완 | ||
25번째 줄: | 24번째 줄: | ||
* 윗눈꺼풀 뒤당김 | * 윗눈꺼풀 뒤당김 | ||
* 어린 아이에서의 약시 | * 어린 아이에서의 약시 | ||
{{참고|성형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