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맥락막 흑색종 (choroidal melanoma) | <b>맥락막 흑색종 (choroidal melanoma)</b> | ||
== 역학 == | == 역학 == | ||
원발성 안내 종양으로는 가장 흔하다. 성인 백인에서 흔하며, 흑인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생하고 소아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견된다. 다행히도 우리나라의 경우 백인에 비하여 발생률이 현저히 낮아서 미국의 1/10 정도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미국은 연간 100만명 당 6명이, 우리나라는 보고된 것이 없으나 연 40명 내외의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 원발성 안내 종양으로는 가장 흔하다. 성인 백인에서 흔하며, 흑인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생하고 소아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견된다. 다행히도 우리나라의 경우 백인에 비하여 발생률이 현저히 낮아서 미국의 1/10 정도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미국은 연간 100만명 당 6명이, 우리나라는 보고된 것이 없으나 연 40명 내외의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 유리체 절제술을 이용한 종양 제거술 : 유리체 절제술 기구로 잘게 부수어서 제거하는 방법이다. 술중 출혈을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들이 있다. 짧은 관찰 기간 동안의 결과는 좋으나 아직 수술 후 충분한 기간 동안 관찰한 결과가 없다. | * 유리체 절제술을 이용한 종양 제거술 : 유리체 절제술 기구로 잘게 부수어서 제거하는 방법이다. 술중 출혈을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들이 있다. 짧은 관찰 기간 동안의 결과는 좋으나 아직 수술 후 충분한 기간 동안 관찰한 결과가 없다. | ||
* 안구 적출술 : 고전적인 치료 방법으로, 중간 이하의 크기에서 안구 적출이 전이를 예방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1차 치료 방법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종양의 <span style='color:blue;'>크기가 크면 (최대 직경 16mm 이상, 두께 10mm 이상)</span> 보통은 안구 적출술을 시행한다. 그러나 종양이 크면 질병의 이환 기간이 길고, 예후가 좋지 않은 세포 형태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안구 적출을 시행하여도 생존율을 높이지는 않는다. 나이가 너무 많은 환자, 전신 상태가 나쁜 경우, 반대측 눈이 실명인 경우는 중간 크기에 준하여 치료한다. | * 안구 적출술 : 고전적인 치료 방법으로, 중간 이하의 크기에서 안구 적출이 전이를 예방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1차 치료 방법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종양의 <span style='color:blue;'>크기가 크면 (최대 직경 16mm 이상, 두께 10mm 이상)</span> 보통은 안구 적출술을 시행한다. 그러나 종양이 크면 질병의 이환 기간이 길고, 예후가 좋지 않은 세포 형태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안구 적출을 시행하여도 생존율을 높이지는 않는다. 나이가 너무 많은 환자, 전신 상태가 나쁜 경우, 반대측 눈이 실명인 경우는 중간 크기에 준하여 치료한다. | ||
{{참고|망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