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이마근 걸기술 (frontalis sling) 은 이마근을 이용하여 눈꺼풀의 위치를 올리는 수술 방법으로 한쪽에만 시행한 경우 아래를 쳐다볼 때 미용...)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이마근 걸기술 (frontalis sling) 은 이마근을 이용하여 눈꺼풀의 위치를 올리는 수술 방법으로 한쪽에만 시행한 경우 아래를 쳐다볼 때 미용상 비대칭이 나타나기 때문에 양쪽 눈 모두에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 <b>이마근 걸기술 (frontalis sling)</b> 은 이마근을 이용하여 눈꺼풀의 위치를 올리는 수술 방법으로 한쪽에만 시행한 경우 아래를 쳐다볼 때 미용상 비대칭이 나타나기 때문에 양쪽 눈 모두에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 ||
== 적응증 == | == 적응증 == | ||
주로 <span style='color:blue;'>눈꺼풀 올림근 기능이 부족인 선천 눈꺼풀 처짐 환자</span>에서 주로 시행된다. | 주로 <span style='color:blue;'>눈꺼풀 올림근 기능이 부족인 선천 눈꺼풀 처짐 환자</span>에서 주로 시행된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자가 대퇴근막 : 자가 조직이므로 생체 거부 반응이 없고 감염 가능성이 낮으며 흡수도 잘 되지 않아 눈꺼풀 처짐의 재발율이 낮은 가장 좋은 재료이다. 그러나 3세 이하의 어린이에서는 대퇴근막을 얻기가 힘들기 때문에 시행하기가 쉽지 않고, 다리에 자가 대퇴근막을 얻기 위한 수술을 추가로 시행해야 하며 이로 인한 흉터가 남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 * 자가 대퇴근막 : 자가 조직이므로 생체 거부 반응이 없고 감염 가능성이 낮으며 흡수도 잘 되지 않아 눈꺼풀 처짐의 재발율이 낮은 가장 좋은 재료이다. 그러나 3세 이하의 어린이에서는 대퇴근막을 얻기가 힘들기 때문에 시행하기가 쉽지 않고, 다리에 자가 대퇴근막을 얻기 위한 수술을 추가로 시행해야 하며 이로 인한 흉터가 남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 ||
* 보존 대퇴근막 : 사체에서 채취하여 방사선 조사 등의 처리를 한 것으로 자가 대퇴근막의 대용품 | * 보존 대퇴근막 : 사체에서 채취하여 방사선 조사 등의 처리를 한 것으로 자가 대퇴근막의 대용품 | ||
{{참고|성형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