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과정 또는 용법)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주사형 필러는 피부 속에 일정한 부피를 제공하고 당장은 큰 변화가 없지만 피부 속의 섬유아세포 등을 자극해 서서히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켜 장기적인 연조직 확대의 효과를 기대한다. | 주사형 필러는 피부 속에 일정한 부피를 제공하고 당장은 큰 변화가 없지만 피부 속의 섬유아세포 등을 자극해 서서히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켜 장기적인 연조직 확대의 효과를 기대한다. | ||
== 분류 == | == 이상적인 필러의 조건 == | ||
오랜 지속성, 비이동성, 시술 효과 재연성, 비동물성, 무통증, 주입 용이성, 합리적인 가격, 보관 용이성, 조직 무독성, 주입 기술의 용이성, 비염증성, 최소한의 부작용, 비 발암성, 생분해성 등을 들 수 있다. | |||
= 분류 == | |||
* 콜라겐 : 필러 물질 1세대라고 할 수 있으며, 부피의 팽창 효과보다 조직 구조를 지지하는 성질을 가지며 혈소판 응집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시술 후 타박, 혈종과 같은 반응이 적다. 동물성 콜라겐의 경우 생체 내 지속 시간은 2~4개월로 짧으며, 약 3% 정도에서 알러지 반응을 나타낸다고 보고되므로 시술 전 반드시 최소한 2회 이상의 피부 반응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 |||
*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 |||
* 칼슘 하이드록실 아파타이트 (calcium hydroxylapatite; CaHA) : Radiesse<sup>®</sup> (Bioform, Franksville, WI) 은 원래 목 안의 성대를 좁히는 목적으로 승인받은 성분이나 2006년 안면부의 미용 목적으로도 승인되어 사용되고 있다. pH가 6.8~8.0으로 인체와 달라 주입할 때 통증이 있으므로 시술 전 국소 마취가 필요하며 굵은 바늘을 사용해야 하므로 주변 조직, 혈관과 신경 손상의 위험성이 있따. 지속 기간은 2년 정도이며 단단한 느낌을 주므로 부피 증강에 효과적이다. | |||
* [[하이드로겔]] (hydrogel) | |||
* PMMA (polymethylmethacrylate) : 현재 유럽에서 사용하는 Artefill<sup>®</sup>은 3.5%의 동물성 콜라겐 안에 40~50㎛의 직경을 가진 미세구 형태의 PMMA 물질을 넣은 물질로 비교적 효과가 영구적이며 깊은 주름이나 진피하 흉터, 입술 보정에 사용된다. 시술 후 2~3개월 내에 동물성 콜라겐은 분해가 되며 PMMA 구체 주변으로 염증 반응이 유도되기 때문에 영구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드시 진피하층에 주입하여야 하며 너무 표층에 주입할 경우 시술 부위가 울퉁불퉁해 보이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 |||
* 실리콘 오일 : 합성 필러의 첫 세대이나 육아종이나 면역 반응과 관련된 안전상의 이유로 사용이 금지되었다. 액체 실리콘은 주입 장소에서 탐식 작용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Bioplasque<sup>®</sup>는 실리콘과 연관된 혼성 중합체로서 미세 입자의 크기와 형태를 디자인하여 흡수를 최소화하고 주입 부위에서 이동을 감소시킨 것이 특징이다. 영구적이나 장기간 경과할 때 만성 염증의 가능성이 있다. | |||
== 과정 또는 용법 == | == 과정 또는 용법 == | ||
# 마취 : 직접적으로 시술 할 부위에 마취제를 주입하면 필러를 주입할 때 교정량과 결과를 판단하게 어렵기 때문에 <span style='color:blue;'>국소 신경 차단이나 국소 마취 크림 도포</span>가 적당하다. 콜라겐과 같은 물질은 상품 내에 lidocaine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바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 # 마취 : 직접적으로 시술 할 부위에 마취제를 주입하면 필러를 주입할 때 교정량과 결과를 판단하게 어렵기 때문에 <span style='color:blue;'>국소 신경 차단이나 국소 마취 크림 도포</span>가 적당하다. 콜라겐과 같은 물질은 상품 내에 lidocaine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바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