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러: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502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6월 22일 (월)
잔글
23번째 줄: 23번째 줄:


== 부작용 및 합병증 ==
== 부작용 및 합병증 ==
* 반상 출혈과 혈종
=== 반상 출혈과 혈종 ===
* 통증
콜라겐보다 히알루론산에서 흔히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콜라겐은 혈소판 응집 효과가 있고 히알루론산은 헤파린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합병증은 대개 수 주 내에 사라진다. 하지만 피부 묘기증 (dermographism) 이 있는 환자라면 주사 직후 피부가 국소적으로 많이 부풀어 오르므로 미리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시술 중에 주사 바늘을 자주 바꾸어 주는 것도 무뎌진 바늘에 의한 피부 손상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 변색
=== 통증 ===
일반적인 통증 외에 시술 시 갑자기 심하게 예리한 통증이 발생한다면, 그리고 그 부위가 미간이나 코끝, 콧방울 오목 (alar recess) 등 소위 위험 부위에 해당한다면 필러의 혈관 내 주입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시술 뒤 곧 아프기 시작해서 1~2일 내로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는 것은 혈관 폐색의 가능성이 상당히 높으며 응급 상황이다. 그보다 조금 더 나중에 발생하는 통증은 세균 감염에 의한 경우가 많다.
=== 변색 ===
흔하지는 않지만 필러가 특정 부위에 너무 몰리면서 혈관들이 눌려 하얗게 변할 수 있다. 조금 더 흔한 경우는 필러 시술 후 염증이 발생했다가 아물면서 생기는 과색소 침착이나 멍이 빠지면서 생기는 혈철소 침착이다. 그러므로 필러 시술 시엔 항상 혈관을 주의해야 한다.
=== 틴들 현상 (Tyndall effect) ===
=== 틴들 현상 (Tyndall effect) ===
비교적 최근에 인식되기 시작한 이 현상은 필러 시술 후 그 부위가 간혹 파르스름하게 보이는 상태를 설명해준다. 특히 다크서클 부위, 즉 눈물 도랑에 주입한 경우에 볼 수 있다. 매질이 통과할 때 매질 속에 입자나 혹은 매질 자체에 의해 빛의 일부가 산란되어 빛이 지나가는 통로가 보이는 현상이다.
비교적 최근에 인식되기 시작한 이 현상은 필러 시술 후 그 부위가 간혹 파르스름하게 보이는 상태를 설명해준다. 특히 다크서클 부위, 즉 눈물 도랑에 주입한 경우에 볼 수 있다. 매질이 통과할 때 매질 속에 입자나 혹은 매질 자체에 의해 빛의 일부가 산란되어 빛이 지나가는 통로가 보이는 현상이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