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봄샘 기능 장애: 두 판 사이의 차이

18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6월 22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눈꺼풀테는 주로 두꺼워져 있고, 과각화, 혈관화, 모세혈관 확장증, 홍반 (erythema), 패임 등을 주로 동반한다. 염증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마이봄샘의 배출구들은 대개 후방으로 밀려오고, 지질의 고체화 혹은 상피 때문에 보통 orifice crapping 이 존재하게 된다. 눈꺼풀테를 누르면 지질이 나오지 않거나 극소량만 나오며, 간혹 이상한 형태로 나오게 된다. 분비물은 혼탁하고 과립 혹은 치약 같은 형태로 배출된다.{{br}}안구 표면이 울퉁불퉁하거나 지방층의 분비 장애 등으로 인해 눈물막의 지방층에 이상이 생기면, 눈물막의 불안정성이 초래되고 눈물 증발이 촉진되어 건성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Goto와 Tseng 은 마이봄샘 기능 장애 시 지방층의 불균등한 분포에 의해 눈물막 증발이 증가하며, 건성안 관련 증상의 악화가 초래된다고 했다. Kim 등은 Tearscope<sup>®</sup> 를 이용하여 눈물막 지방층의 두께 및 분포를 관찰하였는데, 건성안 증상을 호소하는 군은 호소하지 않는 군에 비해 유의하게 두껍고 비균질한 지방층을 나타냈다.
눈꺼풀테는 주로 두꺼워져 있고, 과각화, 혈관화, 모세혈관 확장증, 홍반 (erythema), 패임 등을 주로 동반한다. 염증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마이봄샘의 배출구들은 대개 후방으로 밀려오고, 지질의 고체화 혹은 상피 때문에 보통 orifice crapping 이 존재하게 된다. 눈꺼풀테를 누르면 지질이 나오지 않거나 극소량만 나오며, 간혹 이상한 형태로 나오게 된다. 분비물은 혼탁하고 과립 혹은 치약 같은 형태로 배출된다.{{br}}안구 표면이 울퉁불퉁하거나 지방층의 분비 장애 등으로 인해 눈물막의 지방층에 이상이 생기면, 눈물막의 불안정성이 초래되고 눈물 증발이 촉진되어 건성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Goto와 Tseng 은 마이봄샘 기능 장애 시 지방층의 불균등한 분포에 의해 눈물막 증발이 증가하며, 건성안 관련 증상의 악화가 초래된다고 했다. Kim 등은 Tearscope<sup>®</sup> 를 이용하여 눈물막 지방층의 두께 및 분포를 관찰하였는데, 건성안 증상을 호소하는 군은 호소하지 않는 군에 비해 유의하게 두껍고 비균질한 지방층을 나타냈다.
== 합병증 ==
== 합병증 ==
콘택트렌즈를 잘 착용하지 못하는 현상이 자주 발견된다. 콘택트렌즈는 눈물 증발을 촉진하고, 이미 눈물층이 감소한 환자의 증상을 악화시킨다. [[거대 유두 결막염]] 역시 흔히 동반된다. 따라서 [[거대 유두 결막염]]이 있는 모든 환자에서 마이봄선 기능 장애가 동반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마이봄선 기능 장애를 우선 치 료해야 [[거대 유두 결막염]] 혹은 콘택트렌즈 사용 장애를 교정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를 잘 착용하지 못하는 현상이 자주 발견된다. 콘택트렌즈는 눈물 증발을 촉진하고, 이미 눈물층이 감소한 환자의 증상을 악화시킨다. [[거대 유두 결막염]] 역시 흔히 동반된다. 따라서 [[거대 유두 결막염]]이 있는 모든 환자에서 마이봄선 기능 장애가 동반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마이봄선 기능 장애를 우선 치 료해야 [[거대 유두 결막염]] 혹은 콘택트렌즈 사용 장애를 교정할 수 있다.
[[콩다래끼]] 역시 종종 동반되는데, 기저의 마이봄선 기능 장애가 치료되어야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콩다래끼]] 역시 종종 동반되는데, 기저의 마이봄선 기능 장애가 치료되어야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태 눈꺼풀 연축 환자에서도 과도한 불수의적 눈깜박임과 비정상적인 눈꺼풀 긴장도 증가에 따라 마이봄선 기능 장애가 동반될 수 있으며,이에 따른 안구 표면 상피 및 술잔 세포의 손상과 눈물 지방층 이상으로 인하여 안구 건조 증상이 유발될 수 있다.
본태 눈꺼풀 연축 환자에서도 과도한 불수의적 눈깜박임과 비정상적인 눈꺼풀 긴장도 증가에 따라 마이봄선 기능 장애가 동반될 수 있으며,이에 따른 안구 표면 상피 및 술잔 세포의 손상과 눈물 지방층 이상으로 인하여 안구 건조 증상이 유발될 수 있다.
== 눈꺼풀 위생 ==
== 치료 ==
=== 눈꺼풀 위생 ===
가장 주된 치료는 눈꺼풀 마사지를 포함한 눈꺼풀 위생 개선이다. 환자들은 [[마이봄샘]] 질환은 만성 질환이며 눈꺼풀 위생 개선은 매일 일상적인 치료 관리의 의미에서 지속해야 한다는 교육을 받아야 한다. 눈꺼풀 위생 개선은 다음 3단계로 이루어진다.
가장 주된 치료는 눈꺼풀 마사지를 포함한 눈꺼풀 위생 개선이다. 환자들은 [[마이봄샘]] 질환은 만성 질환이며 눈꺼풀 위생 개선은 매일 일상적인 치료 관리의 의미에서 지속해야 한다는 교육을 받아야 한다. 눈꺼풀 위생 개선은 다음 3단계로 이루어진다.
# 온찜질 : 눈을 감고 따뜻한 수건을 눈꺼풀 위에 올린다. 수건이 식으면 따뜻한 물로 가열하고 다시 눈꺼풀 위에 올려놓는다. 이 과정을 2~10분간 지속한다.
* 온찜질 : 눈을 감고 따뜻한 수건을 눈꺼풀 위에 올린다. 수건이 식으면 따뜻한 물로 가열하고 다시 눈꺼풀 위에 올려놓는다. 이 과정을 2~10분간 지속한다.
# 눈꺼풀 마사지 : 눈꺼풀을 외측 눈구석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당겨 안정시킨 후, 반대편 손의 손가락의 끝으로 안쪽에서 바깥쪽 눈구석을 향해 마사지한다.
* 눈꺼풀 마사지 : 눈꺼풀을 외측 눈구석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당겨 안정시킨 후, 반대편 손의 손가락의 끝으로 안쪽에서 바깥쪽 눈구석을 향해 마사지한다.
# 눈꺼풀 세수 : 만약 앞눈꺼풀염이 동반되어 있다면 눈꺼풀 세수를 통해 눈꺼풀테의 침착물과 속눈썹의 비정상적이고 기름진 분비물을 제거한다.
* 눈꺼풀 세수 : 만약 앞눈꺼풀염이 동반되어 있다면 눈꺼풀 세수를 통해 눈꺼풀테의 침착물과 속눈썹의 비정상적이고 기름진 분비물을 제거한다.
오전에 눈꺼풀 위생 치료를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데, 밤에 자는 동안 분비물이 축적되었기 때문이다.
오전에 눈꺼풀 위생 치료를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데, 밤에 자는 동안 분비물이 축적되었기 때문이다.
== 전신 항생제 치료 ==
=== 전신 항생제 치료 ===
경구 테트라사이클린 250mg 하루 4회 복용, 독시사이클린 50~100mg 하루 2회 복용, 미노사이클린 50mg 하루 2회 복용 등으로 구성된다. 테트라사이클린 보다는 독시사이클린이 선호되는데, 하루에 2회만 복용하면 되고 유제품이나 제산제 등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미노사이클린은 난치성 환자에서 2차적으로 사용한다. 테트라사이클린과 독시사이클린은 또한 주사 환자의 치료에 유용하다. 이러한 항생제 치료는 일반적으로 증상이 심한 환자에서 시행하는데, 대개 수개월간 약을 복용한다. 치료 효과를 나타내려면 적어도 수주일간은 복용해야 한다. 흔한 부작용은 광과민성이다. 또한 가임이 여성이 임신 중 이 약을 복용하면 추후 아이의 치아 에나멜에 비정상을 초래하게 되므로 이에 대해 충분히 경고해야 한다.
경구 테트라사이클린 250mg 하루 4회 복용, 독시사이클린 50~100mg 하루 2회 복용, 미노사이클린 50mg 하루 2회 복용 등으로 구성된다. 테트라사이클린 보다는 독시사이클린이 선호되는데, 하루에 2회만 복용하면 되고 유제품이나 제산제 등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미노사이클린은 난치성 환자에서 2차적으로 사용한다. 테트라사이클린과 독시사이클린은 또한 주사 환자의 치료에 유용하다. 이러한 항생제 치료는 일반적으로 증상이 심한 환자에서 시행하는데, 대개 수개월간 약을 복용한다. 치료 효과를 나타내려면 적어도 수주일간은 복용해야 한다. 흔한 부작용은 광과민성이다. 또한 가임이 여성이 임신 중 이 약을 복용하면 추후 아이의 치아 에나멜에 비정상을 초래하게 되므로 이에 대해 충분히 경고해야 한다.
== 점안 치료 ==
=== 점안 치료 ===
눈꺼풀에 염증이 많은 환자는 전신 경구 항생제 치료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단기간 항생제-스테로이드 복합 연고 제제를 사용하면 초기에 효과를 볼 수 있따. 점안 시클로스포린은 뒤눈꺼풀염의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점안 아지트로마이신 역시 염증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눈꺼풀에 염증이 많은 환자는 전신 경구 항생제 치료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단기간 항생제-스테로이드 복합 연고 제제를 사용하면 초기에 효과를 볼 수 있따. 점안 시클로스포린은 뒤눈꺼풀염의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점안 아지트로마이신 역시 염증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