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윤부 각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3월 13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상윤부 각결막염 (superior limbic keratoconjunctivitis; SLK) 은 "1963년, Frederick Theodore가 처음 기술하였으며, 11명의 환자에서 윗눈꺼풀 결막의 심한...)
 
잔글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16번째 줄:
상부 안구 결막 찰과도말 표본(scraping)에서 각화된 상피 세포와 다형핵 백혈구가 관찰되는 반면, 윗눈꺼풀 결막에서는 다형핵 삼출물을 포함한 정상 상피 세포가 관찰된다. 조직 검사 결과 상부 안구 결막에서는 각화, 가시세포증, 이상각화증, 핵의 풍선 변성, 술잔 세포 감소 등의 소견을 보이고, 윗눈꺼풀 결막에서는 다형핵, 림프구, 형질 세포의 침윤이 있는 정상 상피와 술잔 세포의 비대 소견을 보인다.
상부 안구 결막 찰과도말 표본(scraping)에서 각화된 상피 세포와 다형핵 백혈구가 관찰되는 반면, 윗눈꺼풀 결막에서는 다형핵 삼출물을 포함한 정상 상피 세포가 관찰된다. 조직 검사 결과 상부 안구 결막에서는 각화, 가시세포증, 이상각화증, 핵의 풍선 변성, 술잔 세포 감소 등의 소견을 보이고, 윗눈꺼풀 결막에서는 다형핵, 림프구, 형질 세포의 침윤이 있는 정상 상피와 술잔 세포의 비대 소견을 보인다.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
매우 경한 초기 환자를 제외한 일반적인 경우에는 <span style='color:blue;'>국소 스테로이드와 고식적 안구 건조증 치료</span>만으로는 효과가 없다.<p>- 0.5~0.1% 질산은 도포 : 질산은을 면봉에 뭍여 점안 마취한 상부 안구 결막 혹은 윗눈꺼풀 결막에 도포한다. 1주일에 1회씩 여러 차례 반복한다. 도포 후에는 충분히 세척하여 각막의 화학 화상을 예방한다. 증상 완화의 효과가 있으나 수주에서 수개월 후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매우 경한 초기 환자를 제외한 일반적인 경우에는 <span style='color:blue;'>국소 스테로이드와 고식적 안구 건조증 치료</span>만으로는 효과가 없다.
* 0.5~0.1% 질산은 도포 : 질산은을 면봉에 뭍여 점안 마취한 상부 안구 결막 혹은 윗눈꺼풀 결막에 도포한다. 1주일에 1회씩 여러 차례 반복한다. 도포 후에는 충분히 세척하여 각막의 화학 화상을 예방한다. 증상 완화의 효과가 있으나 수주에서 수개월 후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 압박 안대 및 콘택트렌즈 착용 : 결막 사이의 마찰을 중지시킴으로써 효과를 나타낸다. 질산은 도포나 결막 절제술 시행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에 시행할 수 있다. 특히 실모양체를 형성하는 환자에서 효과적이지만, 분비물이 많이 형성되므로 콘택트렌즈를 장기간 유지하기 어렵다.
* 압박 안대 및 콘택트렌즈 착용 : 결막 사이의 마찰을 중지시킴으로써 효과를 나타낸다. 질산은 도포나 결막 절제술 시행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에 시행할 수 있다. 특히 실모양체를 형성하는 환자에서 효과적이지만, 분비물이 많이 형성되므로 콘택트렌즈를 장기간 유지하기 어렵다.
* 보톡스 주사 : [[보툴리눔 독소]]를 눈둘레근에 주사하여 눈꺼출 결막과 안구 결막 사이의 기계적 마찰을 감소시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 보톡스 주사 : [[보툴리눔 독소]]를 눈둘레근에 주사하여 눈꺼출 결막과 안구 결막 사이의 기계적 마찰을 감소시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