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하수체 선종: 두 판 사이의 차이

335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6월 23일 (화)
잔글
 
7번째 줄: 7번째 줄:
* 안저 : 시신경 유두는 정상이나 창백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유두 부종은 수두증을 일으킬 정도로 종양이 큰 경우를 제외하고는 드물다.
* 안저 : 시신경 유두는 정상이나 창백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유두 부종은 수두증을 일으킬 정도로 종양이 큰 경우를 제외하고는 드물다.
* 뇌신경 마비 : 종양이 바깥쪾으로 성장하여 해면 정맥굴을 침범하면 3, 4, 6번 뇌신경 마비가 나타날 수 있고, 이 중에서도 3번 뇌신경 마비가  
* 뇌신경 마비 : 종양이 바깥쪾으로 성장하여 해면 정맥굴을 침범하면 3, 4, 6번 뇌신경 마비가 나타날 수 있고, 이 중에서도 3번 뇌신경 마비가  
* 기타 : 기능성 뇌하수체 선종은 연관된 호르몬 분비로 인하여 특징적인 임상 증상이 나타나는데 가장 흔한 증상이 프로락틴 분비 종양 (prolactinoma) 에 의한 불임, 월경 소실, 발기 부전 등과 성장 호르몬
* 기타 : 기능성 뇌하수체 선종은 연관된 호르몬 분비로 인하여 특징적인 임상 증상이 나타나는데 가장 흔한 증상이 프로락틴 분비 종양 (prolactinoma) 에 의한 불임, 월경 소실, 발기 부전 등과 성장 호르몬 과다 분비로 인한 말단 비대증 (acromegaly) 이다. 그 밖에  부신 피질 호르몬 과다 분비로 인한 쿠싱병이 나타날 수 있고, 갑상선 자극 호르몬 (TSH) 이나 성선 자극 호르몬 (난포 자극 호르몬 (FSH), 황체 형성 호르몬 (LH)) 분비로 인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 진단 ==
== 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