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b>이차 하사근 기능 항진 (secondary inferior oblique overaction; secondary IOOA)</b> " == 원인 == * 같은쪽 상사근 마비 : 마비된 상사근의 장력이 감소되...)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반대쪽 상직근 마비 : [[헤링 법칙]]에 의해 하사근으로 전달되는 신경 전달이 증가된 것이 원인이다. | * 반대쪽 상직근 마비 : [[헤링 법칙]]에 의해 하사근으로 전달되는 신경 전달이 증가된 것이 원인이다. | ||
* 사두증 (plagiocephaly) : 뒤로 이동된 활차가 상사근 힘줄의 작용 방향을 바꾸게 되고 이 결과 하사근이 상사근에 비해 기능적 우위를 나타냄으로써 내전시 과도한 상전이 나타날 수 있다. | * 사두증 (plagiocephaly) : 뒤로 이동된 활차가 상사근 힘줄의 작용 방향을 바꾸게 되고 이 결과 하사근이 상사근에 비해 기능적 우위를 나타냄으로써 내전시 과도한 상전이 나타날 수 있다. | ||
{{참고|사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