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분지정맥 폐쇄: 두 판 사이의 차이

2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3월 11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7번째 줄: 17번째 줄:
* Aflibercept (Eylea<sup>®</sup>)
* Aflibercept (Eylea<sup>®</sup>)
* 전신적 항응고제 투여 (경구 아스피린, 피하 헤파린 주사, 정맥 내 혈전 용해제 주사) : 현재까지 명백학 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상태로, 역효과로 망막 출혈의 악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 전신적 항응고제 투여 (경구 아스피린, 피하 헤파린 주사, 정맥 내 혈전 용해제 주사) : 현재까지 명백학 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상태로, 역효과로 망막 출혈의 악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 troxerutin : 적혈구 및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고 적혈구의 변형을 유도하여 미세 망막 혈류순환을 개선시키는 약제이다.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발병 5개월 미만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에서 troxerutin 군이 위약군에 비해 최종 시력이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이지는 못하였다.
:- troxerutin : 적혈구 및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고 적혈구의 변형을 유도하여 미세 망막 혈류순환을 개선시키는 약제이다.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발병 5개월 미만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에서 troxerutin 군이 위약군에 비해 최종 시력이 좋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이지는 못하였다.
::- ticloidine : 혈소판 응집 억제제이며 발병 3주 미만의 BRVO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에서 위약군에 비해 6개월 후 시력이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화기계 및 피부 발진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 ticloidine : 혈소판 응집 억제제이며 발병 3주 미만의 BRVO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에서 위약군에 비해 6개월 후 시력이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화기계 및 피부 발진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격자 레이저 광응고술
* 격자 레이저 광응고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