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비수술적 치료) |
잔글 (→비수술적 치료)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질병이 있는 눈에 발생한 <span style='color:blue;'>외상 병력, 눈을 뜨면서 발생하는 통증</span>, 울퉁불퉁하고 특징적인 회색 상피 병변이 있으면 비교적 쉽게 진단할 수 있지만, 보다 경미한 경우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br />이환된 눈에 발생한 외상 병력이 있거나 경미한 증상이 반복되는 경우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면밀한 세극등 검사가 필요하다. 현미경 검사 시 불빛을 넓고 비스듬하게 비추고 형광물질 안약 투여 전후를 비교하며, 산동된 상태에서 역반사 조명으로 바닥막 이상증이나 이전 진무름의 흔적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눈꺼풀 위를 손가락으로 가볍게 눌러 부착이 약한 상피에 의해 생기는 주름을 확인하거나, 세극등 불빛을 가늘게 하여 재상피화 직후까지 보이는 기질의 갈색 과립을 관찰할 수도 있다.<br />면밀한 세극등 검사로도 이상 소견을 발견하지 못할 경우 환자의 증상을 간과하지 말고 통증이 생기면 바로 다시 내원해 검진받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 질병이 있는 눈에 발생한 <span style='color:blue;'>외상 병력, 눈을 뜨면서 발생하는 통증</span>, 울퉁불퉁하고 특징적인 회색 상피 병변이 있으면 비교적 쉽게 진단할 수 있지만, 보다 경미한 경우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br />이환된 눈에 발생한 외상 병력이 있거나 경미한 증상이 반복되는 경우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면밀한 세극등 검사가 필요하다. 현미경 검사 시 불빛을 넓고 비스듬하게 비추고 형광물질 안약 투여 전후를 비교하며, 산동된 상태에서 역반사 조명으로 바닥막 이상증이나 이전 진무름의 흔적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눈꺼풀 위를 손가락으로 가볍게 눌러 부착이 약한 상피에 의해 생기는 주름을 확인하거나, 세극등 불빛을 가늘게 하여 재상피화 직후까지 보이는 기질의 갈색 과립을 관찰할 수도 있다.<br />면밀한 세극등 검사로도 이상 소견을 발견하지 못할 경우 환자의 증상을 간과하지 말고 통증이 생기면 바로 다시 내원해 검진받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 ||
* <span style='color:blue;'>고삼투압 연고</span> (장기간 밤에 투여) : 수면 중 눈꺼풀이 닫힌 상태에서는 눈물 증발이 줄어듦에 따라 눈물이 저장성으로 변하고 삼투압 차에 의한 물의 이동으로 각막 상피에 부종이 생겨 결과적으로 각막 상피의 부착력이 떨어진다. 안연고를 구성하는 용제는 취침 시 발생하는 급속 안구 운동 중이나 아침에 눈을 뜰 때 윤활제로 작용하여 진무름 발생을 억제한다.<br />추가로 낮동안 고삼투 점안약을 사용해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정상적인 부착 복합체가 형성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마지막 진무름이 발생한 후로 <span style='color:blue;'>적어도 6~12개월 정도는 사용</span>해야 한다. 증상이 좋아져 환자가 자의로 약물 투여를 조기 중단하면 재발하는 경우가 많은데, 재발하면 부착 복합체의 재형성이 보다 느려질 수 있으므로 꾸준한 약물 투여의 중요성에 대해 환자를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삼투압 제제가 아닌 일반 안연고를 사용하는 경우 효과가 적다 | * <span style='color:blue;'>고삼투압 연고</span> (장기간 밤에 투여) : 수면 중 눈꺼풀이 닫힌 상태에서는 눈물 증발이 줄어듦에 따라 눈물이 저장성으로 변하고 삼투압 차에 의한 물의 이동으로 각막 상피에 부종이 생겨 결과적으로 각막 상피의 부착력이 떨어진다. 안연고를 구성하는 용제는 취침 시 발생하는 급속 안구 운동 중이나 아침에 눈을 뜰 때 윤활제로 작용하여 진무름 발생을 억제한다.<br />추가로 낮동안 고삼투 점안약을 사용해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정상적인 부착 복합체가 형성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마지막 진무름이 발생한 후로 <span style='color:blue;'>적어도 6~12개월 정도는 사용</span>해야 한다. 증상이 좋아져 환자가 자의로 약물 투여를 조기 중단하면 재발하는 경우가 많은데, 재발하면 부착 복합체의 재형성이 보다 느려질 수 있으므로 꾸준한 약물 투여의 중요성에 대해 환자를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삼투압 제제가 아닌 일반 안연고를 사용하는 경우 효과가 적다.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표. 고삼투압 약제의 종류 | |+표. 고삼투압 약제의 종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