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523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7월 10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시신경염 (optic neuritis; ON)</b> 은 시신경의 염증을 의미한다. [[다발성 경화증]]이나 다른 전신 질환이 없을 때는 단독 (isolated), 단일 증상 (monosymptomatic) 또는 특발 (idiopathic) 시신경염이라고 한다. 시신경염의 병인은 탈수초화로 추정된다. 젊은 성인에서 가장 흔한 시신경병증이다.
<b>시신경염 (optic neuritis; ON)</b> 은 시신경의 염증을 의미한다. [[다발성 경화증]]이나 다른 전신 질환이 없을 때는 단독 (isolated), 단일 증상 (monosymptomatic) 또는 특발 (idiopathic) 시신경염이라고 한다. 시신경염의 병인은 탈수초화로 추정된다.
== 역학 ==
== 역학 ==
대부분 <span style='color:blue;'>20~50세</span>에 발생하며 여자에게 좀 더 많고 좌안과 우안에서 비슷하게 발생한다. <span style='color:blue;'>20~40%에서 유두염 형태</span>로 나타나며 대부분 단안에 발생하나 20%에서는 양안에 발생한다.
젊은 성인에서 가장 흔한 시신경병증이다. 한 눈 시신경염의 빈도는 보고에 따라 다르나 전세계적으로 매년 10만명 당 0.94~2.18명에서 생긴다. 일본의 빈도 (1.6/10만명) 는 스웨덴 (1.46/10만명) 이나 영국 (1/10만명) 과 유사하다.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잘 생기고 (일본 1:1.22) 특히 북유럽에서는 3배 잘 생기며 인종간 차이를 보인다. 시신경염의 메타 분석을 보면 북반구에서는 위도가 높을수록 잘 생기고, 봄에 많고, 북유럽 인종 조상이 있는 경우에 잘 생긴다. 다발 경화증이 흔한 지역에서 과거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이나 HLA-DRB1*1501 등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는 반면, 다발 경화증이 드문 지역에서는 답라 경화증이나 다른 위험 인자와의 관련성이 낮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 시력 감소 : 몇 시간 혹은 며칠 사이에 오며 경도의 시력 장애에서부터 광각 상실까지 다양하다.
* 시력 감소 : 몇 시간 혹은 며칠 사이에 오며 경도의 시력 장애에서부터 광각 상실까지 다양하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