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b>외측 연수 증후군 (lateral medullary syndrome; LMS)</b> 은 왈렌버그 증후군 (Wallenberg syndrome) 이라고도 한다. == 병인 == 외측 연수의 경색은 허혈...)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b>외측 연수 증후군 (lateral medullary syndrome; LMS)</b> 은 왈렌버그 증후군 (Wallenberg syndrome) 이라고도 한다. | <b>외측 연수 증후군 (lateral medullary syndrome; LMS)</b> 은 왈렌버그 증후군 (Wallenberg syndrome) 이라고도 한다. | ||
== 병인 == | == 병인 == | ||
외측 연수의 경색은 허혈 뇌졸중의 약 2%를 차지한다. 주로 뒤아래 소뇌동맥 영역 (PICA territory) 의 경색으로 발생하며 75~90%에서 대혈관 질환인 척추동맥 질환과 연관되고 나머지가 뒤아래 소뇌동맥의 독립적 경색에 의해 발생한다. 최근 외측 연수 증후군 130례를 허혈 뇌졸중 기전에 따라 분류한 결과, 대혈관 질환이 50%, 혈관 박리가 15%, 소혈관 질환 13%, 심장 색전증 5%, 모야모야병 1례, 원인 불명이 15% | 외측 연수의 경색은 허혈 뇌졸중의 약 2%를 차지한다. 주로 뒤아래 소뇌동맥 영역 (PICA territory) 의 경색으로 발생하며 75~90%에서 대혈관 질환인 척추동맥 질환과 연관되고 나머지가 뒤아래 소뇌동맥의 독립적 경색에 의해 발생한다. 최근 외측 연수 증후군 130례를 허혈 뇌졸중 기전에 따라 분류한 결과, 대혈관 질환이 50%, 혈관 박리가 15%, 소혈관 질환 13%, 심장 색전증 5%, 모야모야병 1례, 원인 불명이 15% 였다. 소뇌 경색이 같이 나타날 수 있으며 탈수초 질환, 신생물, 해면상 혈관 기형 또는 감염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 ||
== 신경학적 증상과 징후 == | |||
가장 흔한 증상은 같은 쪽 운동 실조, [[호르너 증후군]], 얼굴의 통각과 온도 감각 소실, 반대쪽 몸의 통각과 온도 감각 소실이다. 손상된 구조와 그에 따른 증상은 척수-시상로 (spinothalamic tract) 손상으로 인한 반대쪽 통각과 온도 감각 소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