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외측 돌진)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동반된 눈떨림 (nystagmus) 은 반고리관의 입력 감소로 병변 반대쪽으로 빠른 단계를 보이는 된눈떨림이며, 이는 수평과 수직 성분이 혼합된 말초 전정기관 병변의 눈떨림과 유사하다. 회선 눈떨림이 가장 많으며, 이는 눈기울임 반응과 관련 있다. 소뇌의 타래 (flocculus) 회로 단절로 인해 원활 추종운동 장애를 동반한 [[주시 유발 눈떨림]]이 나타나며, 병변 반대쪽을 주시할 때 나타나는 빠르고 작은 [[전정 눈떨림]]과 병변 쪽을 주시할 때 나타나는 느리고 큰 [[주시 유발 눈떨림]]이 함께 있는 Bruns 눈떨림도 간혹 보고된다. [[시소 눈떨림]]도 [[안쪽 세로 다발]] 다발]] 병변이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다. | 동반된 눈떨림 (nystagmus) 은 반고리관의 입력 감소로 병변 반대쪽으로 빠른 단계를 보이는 된눈떨림이며, 이는 수평과 수직 성분이 혼합된 말초 전정기관 병변의 눈떨림과 유사하다. 회선 눈떨림이 가장 많으며, 이는 눈기울임 반응과 관련 있다. 소뇌의 타래 (flocculus) 회로 단절로 인해 원활 추종운동 장애를 동반한 [[주시 유발 눈떨림]]이 나타나며, 병변 반대쪽을 주시할 때 나타나는 빠르고 작은 [[전정 눈떨림]]과 병변 쪽을 주시할 때 나타나는 느리고 큰 [[주시 유발 눈떨림]]이 함께 있는 Bruns 눈떨림도 간혹 보고된다. [[시소 눈떨림]]도 [[안쪽 세로 다발]] 다발]] 병변이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다. | ||
=== 외측 돌진 === | === 외측 돌진 === | ||
외측 돌진 (lateropulsion) 이란 병변의 같은 쪽 (ipsipulsion) 또는 반대쪽 (contrapulsion) 으로 눈위치가 편향 (positional bias) 되는 것으로, 중뇌 병변에서는 병변 반대쪽으로 돌진이 보이는 반면 외측 연수 증후군에서는 같은 쪽으로 돌진이 보인다. | 외측 돌진 (lateropulsion) 이란 병변의 같은 쪽 (ipsipulsion) 또는 반대쪽 (contrapulsion) 으로 눈위치가 편향 (positional bias) 되는 것으로, 중뇌 병변에서는 병변 반대쪽으로 돌진이 보이는 반면 외측 연수 증후군에서는 같은 쪽으로 돌진이 보인다. 외측 돌진의 종류는 두 가지이다. | ||
* 주시하지 않을 때 정지된 눈위치의 편향 : 암실에 있거나 눈을 감은 상태에서 나타난다. | |||
* 신속운동 외측 돌진 (saccadic lateropulsion) : 수직 신속운동을 할 때 눈운동 궤적이 병변 쪽으로 치우치는 것이다. 병변 쪽으로 수평 신속운동을 할 때는 목표점을 지나고 (hypermetric), 병변 반대쪽으로 수평 신속운동을 할 때는 목표점에 못 미친다 (hypometric). | |||
=== 추적 눈운동의 장애 === | === 추적 눈운동의 장애 === | ||
외측 돌진에 동반하여 원활 추종운동 장애나 [[전정 안반사]] 억제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 경우 병변 방향으로 원활 추종운동 장애와 전정 안반사 억제와 함께 속도 편향이 나타나며 [[시운동 눈떨림]] 저속기가 병변 반대쪽으로 나타날 수 있다. 만약 소뇌 병변이 동반되었다면 같은 쪽으로의 저속 눈운동 장애가 있을 수 있다. | 외측 돌진에 동반하여 원활 추종운동 장애나 [[전정 안반사]] 억제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 경우 병변 방향으로 원활 추종운동 장애와 전정 안반사 억제와 함께 속도 편향이 나타나며 [[시운동 눈떨림]] 저속기가 병변 반대쪽으로 나타날 수 있다. 만약 소뇌 병변이 동반되었다면 같은 쪽으로의 저속 눈운동 장애가 있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