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혈 시신경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5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7월 11일 (토)
잔글
12번째 줄: 12번째 줄:
=== 수술 관련 ===
=== 수술 관련 ===
=== 저혈압 ===
=== 저혈압 ===
저혈압과 관련된 ION은 혈액 투석을 받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주로 발생한다. 혈압 자체가 원인이라기 보다는 이 환자들이 이미 만성 고혈압, 동맥 경화 등으로 인해 시신경 혈관의 자기 조절 기능이 저하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br}}신부전 환자에서 시신경 유두 부종과 함께 급격히 시신경 기능이 감소하는 상황을 '요독 시신경병증 (uremic optic neuropathy)'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는 일종의 대사 관련 시신경병증으로 신속한 투석과 스테로이드 치료로 호전될 수 있다. 하지만 보고된 증례에는 심한 저혈압 후에 시신경 손상이 회복되지 않은 AION 환자도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br}}저혈압으로 인한 시력 저하는 다음의 세 가지 기전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저혈압과 관련된 ION은 혈액 투석을 받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주로 발생한다. 혈압 자체가 원인이라기 보다는 이 환자들이 이미 만성 고혈압, 동맥 경화 등으로 인해 시신경 혈관의 자기 조절 기능이 저하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신부전 환자에서 시신경 유두 부종과 함께 급격히 시신경 기능이 감소하는 상황을 '요독 시신경병증 (uremic optic neuropathy)'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는 일종의 대사 관련 시신경병증으로 신속한 투석과 스테로이드 치료로 호전될 수 있다. 하지만 보고된 증례에는 심한 저혈압 후에 시신경 손상이 회복되지 않은 AION 환자도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br}}저혈압으로 인한 시력 저하는 다음의 세 가지 기전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 빈혈이나 동맥 경화가 없는 환자에서 지속적이고 심한 저혈압으로 대뇌 두정엽과 후두엽 분수 구역 (watershed) 경색이 일어나는 경우, 시신경은 대개 손상되지 않는다.
# 빈혈이나 동맥 경화가 없는 환자에서 지속적이고 심한 저혈압으로 대뇌 두정엽과 후두엽 분수 구역 (watershed) 경색이 일어나는 경우, 시신경은 대개 손상되지 않는다.
# 동맥 경화 위험 인자가 있는 빈혈 환자에서 짧은 시간 저혈압이 분수 구역 경색을 일으킬 정도는 아니지만 시신경 유두 경색을 일으킬 정도의 허혈을 유발할 수 있다. 임상 양상은 NAION과 같다.
# 동맥 경화 위험 인자가 있는 빈혈 환자에서 짧은 시간 저혈압이 분수 구역 경색을 일으킬 정도는 아니지만 시신경 유두 경색을 일으킬 정도의 허혈을 유발할 수 있다. 임상 양상은 NAION과 같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