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개방각 녹내장 (open-angle glaucoma; OAG) == 역학 == 녹내장의 역학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 보고가 있었으나 녹내장에 대한 보편적으로 일치된 정...) |
잔글 (→치료 목적과 방침)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녹내장의 역학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 보고가 있었으나 녹내장에 대한 보편적으로 일치된 정의가 없었기 때문에 녹내장의 유병률 및 발생 빈도에 대해서는 연구자에 따라 다르다. 그것은 녹내장의 정의도 다르고, 정상과 녹내장을 구별한는 안압치도 다르기 때문이다.<br />그러나 비교적 신빙성 있는 개방각 녹내장의 유병률로 1992년 Klein 등이 Beaver Dam 지역의 43세 이상의 연령군에서 2.1%라고 발표하였고, 1996년 Mitchell 등은 3.0% 라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Framingham 지역의 대단위 조사에서의 유병률은 *5% 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도 증가하여 70대의 유병률은 40대보다 3~8배 높으며,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흑인의 유병률은 백인보다 3~4배 이상 높다.<br />일본의 Tajimi 시에서는 3.9% ([[원발 개방각 녹내장]] 0.3%, [[정상 안압 녹내장]] 3.6%) 의 유병률을 보고하였으며, 우리나라는 2007~2008년 한국 녹내장 학회가 금산군 남일면 지역에서 시행한 인구 기반 녹내장 역학 조사 결과 [[정상 안압 녹내장]]을 포함한 개방각 녹내장의 유병률은 40세 이상에서 3.5%로 나타났다. | 녹내장의 역학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 보고가 있었으나 녹내장에 대한 보편적으로 일치된 정의가 없었기 때문에 녹내장의 유병률 및 발생 빈도에 대해서는 연구자에 따라 다르다. 그것은 녹내장의 정의도 다르고, 정상과 녹내장을 구별한는 안압치도 다르기 때문이다.<br />그러나 비교적 신빙성 있는 개방각 녹내장의 유병률로 1992년 Klein 등이 Beaver Dam 지역의 43세 이상의 연령군에서 2.1%라고 발표하였고, 1996년 Mitchell 등은 3.0% 라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Framingham 지역의 대단위 조사에서의 유병률은 *5% 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도 증가하여 70대의 유병률은 40대보다 3~8배 높으며,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흑인의 유병률은 백인보다 3~4배 이상 높다.<br />일본의 Tajimi 시에서는 3.9% ([[원발 개방각 녹내장]] 0.3%, [[정상 안압 녹내장]] 3.6%) 의 유병률을 보고하였으며, 우리나라는 2007~2008년 한국 녹내장 학회가 금산군 남일면 지역에서 시행한 인구 기반 녹내장 역학 조사 결과 [[정상 안압 녹내장]]을 포함한 개방각 녹내장의 유병률은 40세 이상에서 3.5%로 나타났다. | ||
== 치료 목적과 방침 == | == 치료 목적과 방침 == | ||
안압 상승으로 인하여 눈의 조직 및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였다고 생각되면, 상승된 안압을 강하 시킴으로써 그 장애를 경감 또는 장애의 진행을 늦추거나 방지할 수 있다. | 안압 상승으로 인하여 눈의 조직 및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였다고 생각되면, 상승된 안압을 강하 시킴으로써 그 장애를 경감 또는 장애의 진행을 늦추거나 방지할 수 있다. 치료는 안압을 하강시켜 녹내장성 시신경 손상 및 시야 결손을 방지하는 것이 목표다. 아울러 치료의 부작용 및 합병증을 줄이도록 힘써야 한다. 치료의 시작은 안압을 하강시키는 것이며 수술은 최대 약물 요법 (maximum tolerable medical therapy; MTMT) 으로 시신경 손상 및 시야 결손을 방지할 수 없는 경우에 쓰여진다.{{br}}녹내장의 진단이 확실하면 치료 방침을 세워야 한다. 방침 중 가장 우선되는 것이 목표 안압이다. 안압의 현저한 감소가 필요하며, 녹내장의 진행 정도 등을 고려하여 약 20~40%의 안압 하강이 알맞은 목표 안압이 될 것이다. 일단 목표 안압이 성취되면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그 목표 안압이 눈의 장애를 방지하는데 충분히 낮은 안압인지 결정하여야 한다.{{br}}최적의 최초 요법은 각각의 환자에게 주는 위험과 이익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할 것이다. | ||
* 약물 요법 : 눈 또는 전신의 부작용을 동반할 수 있으며 환자의 순응도가 불확실하고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 |||
*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 : 대체로 초기에는 안압 하강 작용이 유효하나 때때로 추가로 약물 요법이 필요하다. | |||
* [[섬유주 절제술]]로 대표되는 녹내장 여과 수술은 모든 환자에서 성공하는 것이 아니고, 또 처음에 성공하였어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패하는 경우도 있다. 더욱이 약물 요법이나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에서는 볼 수 없는 심각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럼에도 여과 수술은 대체적으로 안압을 현저히 낮추고 안압의 하루 변동이 적은 안정된 안압을 얻을 수 있다. | |||
치료의 시작은 무엇으로 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답은 일률적으로 정할 수 없다. 최종적인 결정은 환자 개개인에 맞추어 이루어져야 하고, 그 환자의 위험과 이익을 비교하고 치료의 비용 등도 고려하여야 한다.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 ||
치료는 먼저 약물 요법으로 시작한다. 한눈 치료 시도로 그 약의 효력 및 환자와의 적합성을 결정한다. 충분한 격려와 교육이 환자의 순응과 수락을 자극하는데 도움이 된다. | 치료는 먼저 약물 요법으로 시작한다. 한눈 치료 시도로 그 약의 효력 및 환자와의 적합성을 결정한다. 충분한 격려와 교육이 환자의 순응과 수락을 자극하는데 도움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