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압: 두 판 사이의 차이

384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7월 16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안압 (intraocular pressure; IOP) 은 녹내장 발병과 관련이 있는 여러 위험 요인들 중에서 가장 확실하게 밝혀진 위험 요인이며 녹내장의 치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안압 (intraocular pressure; IOP) 은 [[녹내장]] 발병과 관련이 있는 여러 위험 요인들 중에서 가장 확실하게 밝혀진 위험 요인이며 녹내장의 치료는 아직까지는 안압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안압은 [[섬모체]]에서 생산되는 [[방수]]의 생산과 눈의 [[전방]]에서 빠져나가는 방수의 유출에 대한 저항간의 균형 및 [[상공맥 정맥압]]치에 의해 결정된다. 대개의 경우 안압 상승은 방수 유출에 대한 저항이 증가함으로써 초래된다.
<b>안압 (intraocular pressure; IOP)</b>  은 [[녹내장]] 발병과 관련이 있는 여러 위험 요인들 중에서 가장 확실하게 밝혀진 위험 요인이며 녹내장의 치료는 아직까지는 안압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안압은 [[섬모체]]에서 생산되는 [[방수]]의 생산과 눈의 [[전방]]에서 빠져나가는 방수의 유출에 대한 저항간의 균형 및 [[상공맥 정맥압]]치에 의해 결정된다. 대개의 경우 안압 상승은 방수 유출에 대한 저항이 증가함으로써 초래된다.{{br}}안압 상승으로 인한 시신경 및 시야의 변화는 상승된 안압과 이에 대한 시신경 축삭의 저항력에 의해 결정된다. 안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으면 시신경 축삭이 손상되는데, 시신경 축삭의 저항력이 낮으면 높지 않은 안압에서도 시신경 축삭의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 정상안의 안압 ==
== 정상안의 안압 ==
정상 안압이란 정확한 숫자로 표현하기가 어려우며, 녹내장이라는 질환과 연관하면 시신경 유두에 녹내장성 장애를 주지 않는 안압이다. 모든 눈이 어느 특정한 높이의 안압에 동일하게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정상 안압을 정확한 수치로 표시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일반 사람들에서 안압의 분포로서 평가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br />통계학적 정규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면 안압이 21mmHg보다 높은 경우는 약 2.5%이다. 그러나 실제 인구에서는 안압이 21mmHg를 넘는 경우가 이보다 더 많지만 이들 모두에서 녹내장성 시신경병증이나 시야 변화를 보이지는 않는다. 즉 안압이 21mmHg보다 높지만 녹내장성 장애가 초래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반면, 안압이 21mmHg보다 낮아도 녹내장성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안압이 21mmHg보다 높다는 것은 녹내장 진단의 기준이라기 보다는 녹내장 발병과 관련이 있는 중요한 위험 인자이다.
정상 안압이란 정확한 숫자로 표현하기가 어려우며, 녹내장이라는 질환과 연관하면 시신경 유두에 녹내장성 장애를 주지 않는 안압이다. 모든 눈이 어느 특정한 높이의 안압에 동일하게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정상 안압을 정확한 수치로 표시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일반 사람들에서 안압의 분포로서 평가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br />통계학적 정규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면 안압이 21mmHg보다 높은 경우는 약 2.5%이다. 그러나 실제 인구에서는 안압이 21mmHg를 넘는 경우가 이보다 더 많지만 이들 모두에서 녹내장성 시신경병증이나 시야 변화를 보이지는 않는다. 즉 안압이 21mmHg보다 높지만 녹내장성 장애가 초래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반면, 안압이 21mmHg보다 낮아도 녹내장성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안압이 21mmHg보다 높다는 것은 녹내장 진단의 기준이라기 보다는 녹내장 발병과 관련이 있는 중요한 위험 인자이다.
16번째 줄: 16번째 줄:
* 눈꺼풀과 눈의 움직임 : 눈깜빡임은 안압을 10 mmHg 정도 상승시키나 눈을 심하게 감으면 안압이 90 mmHg 까지 상승될 수 있다. 그러나 눈을 계속해서 심하게 감으면 안압은 하강한다. 의식적으로 눈을 크게 뜨면 안압은 약 2 mmHg 정도 상승한다. [[벨 마비]]에서는 안압이 감소한다. 외안근의 수축은 안압에 영향을 준다. 상측 주시를 하면 안압이 상승할 수 있는데, 이는 침윤성 [[갑상샘 (연관) 눈병증]]에서 더 심하게 나타난다. 수평 좌우 주시시에도 안압이 약간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안구 운동 제한이 있는 눈에서 더 심하다.
* 눈꺼풀과 눈의 움직임 : 눈깜빡임은 안압을 10 mmHg 정도 상승시키나 눈을 심하게 감으면 안압이 90 mmHg 까지 상승될 수 있다. 그러나 눈을 계속해서 심하게 감으면 안압은 하강한다. 의식적으로 눈을 크게 뜨면 안압은 약 2 mmHg 정도 상승한다. [[벨 마비]]에서는 안압이 감소한다. 외안근의 수축은 안압에 영향을 준다. 상측 주시를 하면 안압이 상승할 수 있는데, 이는 침윤성 [[갑상샘 (연관) 눈병증]]에서 더 심하게 나타난다. 수평 좌우 주시시에도 안압이 약간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안구 운동 제한이 있는 눈에서 더 심하다.
* 염증 : 앞포도막염 같은 눈의 염증 시에는 방수 생성의 감소로 안압이 하강한다. 그러나 섬모체보다 유출로가 더 영향을 받으면 안압은 상승할 수 있다.
* 염증 : 앞포도막염 같은 눈의 염증 시에는 방수 생성의 감소로 안압이 하강한다. 그러나 섬모체보다 유출로가 더 영향을 받으면 안압은 상승할 수 있다.
{{참고|녹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