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선천 활차신경 마비]] | * [[선천 활차신경 마비]] | ||
* [[후천 활차신경 마비]] | * [[후천 활차신경 마비]] | ||
== 진단 == | |||
진단은 주로 '3단계 검사'를 시행하여 이루어지는데, 마비가 1개의 회선 수직 근육에 있을 때, 그리고 급성기에 유용하다. | |||
# 수직 사시는 제일 눈위치에서 결정된다. 상사시인 눈을 기준으로, 같은 쪽 하직근과 상사근, 반대쪽 상직근과 하사근의 네 근육 중 하나가 마비일 수 있다. 따라서 오른눈 상사시가 있다면 마비일 수 있는 근육은 오른눈 하직근과 상사근, 왼눈 상직근과 하사근이다. | |||
# 상사시가 오른쪽 또는 왼쪽 수평 주시에서 증가하는지 확인한다. 이는 가능한 마비근을 둘로 줄여준다. 따라서 오른눈 상사시에서 오른쪽 주시에서 편위가 증가한다면 침범된 근육은 오른눈 하직근 (눈이 외전된 위치에서 최대한의 수직 작용을 함) 또는 왼눈 하사근 (눈이 내전된 위치에서 최대한의 수직 작용을 함) 일 수 있다. 왼쪽 주시에서 편위가 증가한다면 침범된 근육은 오른눈 상사근 또는 왼눈 상직근일 수 있다. | |||
# 머리 기울임 검사로 수직 사시의 가능한 원인이 되는 두 근육 사이의 감별 진단을 한다. 왼쪽 주시에서 증가하는 오른눈 상사시를 가지고 있다면 고개를 오른쪽으로 기울였을 때 상사시 증가는 마비된 상사근을 나타낸다. | |||
{{참고|신경안과}} | {{참고|신경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