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홍채 절개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426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7월 23일 (목)
잔글
잔글 (→‎기구)
48번째 줄: 48번째 줄:
== 시술 전 준비 ==
== 시술 전 준비 ==
=== 기구 ===
=== 기구 ===
=== 레이저 ===
초기에는 continuous-wave 아르곤 레이저가 가장 많이 쓰였다. 그 외에도 pulsed 아르곤 레이저와 krypton 레이저도 효과적인 레이저이지만 현재는 pulsed Nd:YAG 레이저가 보편화되면서 가장 널리 쓰이게 되었다.
=== 렌즈 ===
콘택트렌즈는 시술 시 눈꺼풀을 벌리고, 각막 상피세포의 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고, 안구의 움직임을 어느 정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볼록 렌즈 형태인 콘택트렌즈는 홍채에 도달하는 레이저의 에너지 밀도를 높여 효율을 높인다.{{br}}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아브라함 (Abraham) 홍채 절개 렌즈인데, 이 렌즈는 콘택트렌즈의 전면에 +66 D 의 편평-볼록 렌즈가 부착되어 있다. 이 렌즈는 각막에서는 레이저광의 직경을 2배로 하여 레이저 에너지 밀도를 1/4로 낮추고, 홍채에서는 직경을 1/2로 줄여 에너지 밀도를 4배로 높이게 된다.{{br}}또 다른 렌즈는 Wise 홍채-동공 조임근 절개 렌즈인데, +103 D 의 광학적 구조가 중심에서 2.5mm 떨어져 있고, 홍채에서의 광응고반을 더 작게 하여 레이저의 강도를 더 높이게 된다. 그 외에 Schirmer 렌즈는 시술하면서 전방각을 볼 수 있다.{{br}}모든 시술 시 세극등을 고배율 (보통 40배) 로 맞추는 것이 좋다.
=== 레이저 전 약물 투여 ===
=== 레이저 전 약물 투여 ===
시술 전에 [[필로카르핀]]을 점안하여 축동시켜서 주변부 홍채를 최대한 얇아지도록 한다. 급성 폐쇄각 녹내장이 발작된 환자에서는 가능하면 약물 치료로 발작을 멈추게 하여 각막 부종을 없애고 축동시키는 것이 가장 좋다. 그러나 급성 발작이 약물 치료로 치료되지 않을 때 레이저 홍채 절개술 또는 홍채 성형술, 동공 성형술을 하면 발작을 멈추게 되는 경우도 있다.{{br}}협조가 안 되거나 안진 눈떨림이 있는 환자에서는 [[구후 마취]]가 필요하지만 거의 모든 환자는 국소 마취제 점안으로 충분하다. 시술 후 안압 상승을 줄이기 위해 시술 1시간 전과 시술 직후에 1% [[아프라클로니딘|apraclonidine]]을 각각 한 방울씩 점안한다.
시술 전에 [[필로카르핀]]을 점안하여 축동시켜서 주변부 홍채를 최대한 얇아지도록 한다. 급성 폐쇄각 녹내장이 발작된 환자에서는 가능하면 약물 치료로 발작을 멈추게 하여 각막 부종을 없애고 축동시키는 것이 가장 좋다. 그러나 급성 발작이 약물 치료로 치료되지 않을 때 레이저 홍채 절개술 또는 홍채 성형술, 동공 성형술을 하면 발작을 멈추게 되는 경우도 있다.{{br}}협조가 안 되거나 안진 눈떨림이 있는 환자에서는 [[구후 마취]]가 필요하지만 거의 모든 환자는 국소 마취제 점안으로 충분하다. 시술 후 안압 상승을 줄이기 위해 시술 1시간 전과 시술 직후에 1% [[아프라클로니딘|apraclonidine]]을 각각 한 방울씩 점안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