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주변 홍채 성형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0 바이트 제거됨 ,  2020년 7월 24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링크=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039625707000173
|링크=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039625707000173
}}
}}
== 효과 ==
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던 [[급성 폐쇄각 녹내장]] 환자에서 시술 전 평균 안압이 54.9mmHg 였으나 아르곤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을 시행한 후 2~4시간 뒤 평균 안압이 18.9mmHg로 감소하였다고 보고된 연구도 있었다. 반면에 주변 홍채앞 유착과 전방각 폐쇄가 함께 있는 [[만성 폐쇄각 녹내장]] 11안에서는 아르곤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을 시행 후 6개월 뒤 7안은 안압이 잘 조절되었지만 4안에서는 [[섬유주 절제술]]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br />레이저 홍채 절개술의 효과가 적은 [[고원 홍채]]에서는 시술 후 79개월간 경과 관찰하였을 때 87%에서 전방각이 열렸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수정체에 의한 유발된 전방각 폐쇄에서도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
== 적응증 ==
== 적응증 ==
* <span style='color:blue;'>[[레이저 홍채 절개술]]을 곧바로 시행할 수 없는 [[급성 폐쇄각 녹내장]]</span>
* <span style='color:blue;'>[[레이저 홍채 절개술]]을 곧바로 시행할 수 없는 [[급성 폐쇄각 녹내장]]</span>
15번째 줄: 13번째 줄:
* 주변 홍채앞 유착과 전방각 폐쇄가 함께 있는 [[만성 폐쇄각 녹내장]]
* 주변 홍채앞 유착과 전방각 폐쇄가 함께 있는 [[만성 폐쇄각 녹내장]]
* 수정체에 의해 유발된 전방각 폐쇄
* 수정체에 의해 유발된 전방각 폐쇄
== 금기증 ==
== 금기 ==
* 심한 각막 부종이 있는 경우
* 심한 각막 부종이 있는 경우
* 전방이 매우 얕거나 없는 경우
* 전방이 매우 얕거나 없는 경우
* 이차성 유착 (포도막염, [[신생혈관 녹내장]], [[홍채 각막내피 증후군]] 등에 의해)
* 이차성 유착 (포도막염, [[신생혈관 녹내장]], [[홍채 각막내피 증후군]] 등에 의해)
== 과정 또는 용법 ==
== 방법 ==
# 시술 전 약물 투여 : 시술 1시간 전에 2% pilocarpine을 점안하여 주변부 홍채가 얇아지도록 한다. 높은 안압에 의해 홍채의 동공 조임근이 마비가 되면 pilocarpine에 반응을 하지 않지만 주변부 홍채는 반응한다. 그러나 많이 점안할 경우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전방이 얕아지기 때문에 시술 전 단지 몇 반울만 점안하는 것이 좋다.<br />시술 후 안압 상승을 줄이기 위해 시술 전 apraclonidine 또는 brimonidine을 점안한다. 각막 부종이 심하여 홍채 표면이 보이지 않는다면 고삼투압 약제를 투여하거나 각막 천자를 한 후 시술할 수도 있다.
# 시술 전 약물 투여 : 시술 1시간 전에 2% pilocarpine을 점안하여 주변부 홍채가 얇아지도록 한다. 높은 안압에 의해 홍채의 동공 조임근이 마비가 되면 pilocarpine에 반응을 하지 않지만 주변부 홍채는 반응한다. 그러나 많이 점안할 경우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전방이 얕아지기 때문에 시술 전 단지 몇 반울만 점안하는 것이 좋다.<br />시술 후 안압 상승을 줄이기 위해 시술 전 apraclonidine 또는 brimonidine을 점안한다. 각막 부종이 심하여 홍채 표면이 보이지 않는다면 고삼투압 약제를 투여하거나 각막 천자를 한 후 시술할 수도 있다.
# 렌즈 : Abraham 홍채 절개 렌즈 외에도 골드만 삼면경 렌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골드만 삼면경 렌즈는 고원 홍채에 효과적이지만 접선 방향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하기 때문에 전방각을 다칠 위험이 높으며 넓어진 광응고반에 의해 전방각이 넓어지는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 렌즈 : Abraham 홍채 절개 렌즈 외에도 골드만 삼면경 렌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골드만 삼면경 렌즈는 고원 홍채에 효과적이지만 접선 방향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하기 때문에 전방각을 다칠 위험이 높으며 넓어진 광응고반에 의해 전방각이 넓어지는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25번째 줄: 23번째 줄:
# 위치 : Abraham 홍채 절개 렌즈를 통하여 조준광은 주변부 홍채의 가장자리에 맞춘다. 광응고반이 주변부 홍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지 않으면 시술의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조준광을 더욱 홍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기 위해 환자를 치료 부위의 반대 방향으로 보라고 하고 각막 윤부에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맞춘다. 일반적으로 한 개의 사분면 당 5~6개의 광응고반을 만들거나 전체 홍채에서 20~24개의 광응고반을 만들며 광응고반과 광응고반 사이에 두 개의 광응고반 만큼 간격을 두어 홍채의 허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br /><span style='color:blue;'>주변 홍채앞 유착이 있는 부위, 홍채 혈관이 있는 부위, 홍채 결손이나 홍채의 편위가 있는 방향에는 광응고반을 만들지 않는다</span>
# 위치 : Abraham 홍채 절개 렌즈를 통하여 조준광은 주변부 홍채의 가장자리에 맞춘다. 광응고반이 주변부 홍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지 않으면 시술의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조준광을 더욱 홍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기 위해 환자를 치료 부위의 반대 방향으로 보라고 하고 각막 윤부에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맞춘다. 일반적으로 한 개의 사분면 당 5~6개의 광응고반을 만들거나 전체 홍채에서 20~24개의 광응고반을 만들며 광응고반과 광응고반 사이에 두 개의 광응고반 만큼 간격을 두어 홍채의 허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br /><span style='color:blue;'>주변 홍채앞 유착이 있는 부위, 홍채 혈관이 있는 부위, 홍채 결손이나 홍채의 편위가 있는 방향에는 광응고반을 만들지 않는다</span>
# 출력 : 광응고반에 의해 전방각이 넓어지지 않으면 출력을 증가시키고 레이저 조사 부위에서 기포가 생기거나 전방에 색소가 부유하면 출력을 낮추어야 한다.
# 출력 : 광응고반에 의해 전방각이 넓어지지 않으면 출력을 증가시키고 레이저 조사 부위에서 기포가 생기거나 전방에 색소가 부유하면 출력을 낮추어야 한다.
== 부작용 및 합병증 ==
== 효과 ==
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던 [[급성 폐쇄각 녹내장]] 환자에서 시술 전 평균 안압이 54.9mmHg 였으나 아르곤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을 시행한 후 2~4시간 뒤 평균 안압이 18.9mmHg로 감소하였다고 보고된 연구도 있었다. 반면에 주변 홍채앞 유착과 전방각 폐쇄가 함께 있는 [[만성 폐쇄각 녹내장]] 11안에서는 아르곤 레이저 주변홍채 성형술을 시행 후 6개월 뒤 7안은 안압이 잘 조절되었지만 4안에서는 [[섬유주 절제술]]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br />레이저 홍채 절개술의 효과가 적은 [[고원 홍채]]에서는 시술 후 79개월간 경과 관찰하였을 때 87%에서 전방각이 열렸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수정체에 의한 유발된 전방각 폐쇄에서도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
== 합병증 ==
* 홍채염 : 염증 반응은 일시적이며 스테로이드제를 점안하면 대부분 치료된다. 그러나 때로는 심한 염증과 전방 축농이 동반될 수도 있으며 염증에 의한 광응고반 부위에 국소적으로 주변 홍채앞 유착이 발생할 수도 있다.
* 홍채염 : 염증 반응은 일시적이며 스테로이드제를 점안하면 대부분 치료된다. 그러나 때로는 심한 염증과 전방 축농이 동반될 수도 있으며 염증에 의한 광응고반 부위에 국소적으로 주변 홍채앞 유착이 발생할 수도 있다.
* 일시적인 안압 상승 : 특히 홍채앞 유착이 있었던 눈에서 많이 발생한다. 적절한 레이저 시술을 하고 시술 전후에 [[아프라클로니딘|apraclonidine]] 또는 [[브리모니딘|brimonidine]]을 점안하면 안압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
* 일시적인 안압 상승 : 특히 홍채앞 유착이 있었던 눈에서 많이 발생한다. 적절한 레이저 시술을 하고 시술 전후에 [[아프라클로니딘|apraclonidine]] 또는 [[브리모니딘|brimonidine]]을 점안하면 안압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참고|녹내장}}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