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홍채 절개술: 두 판 사이의 차이

526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7월 27일 (월)
잔글
96번째 줄: 96번째 줄: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처럼 시술 후 일시적 안압 상승과 경도의 앞포도막염이 자주 나타난다. 또다른 합병증은 홍채 절개 부위의 폐쇄, 각막 손상, 전방 출혈, 백내장 발생, 망막 손상 등이 있다.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처럼 시술 후 일시적 안압 상승과 경도의 앞포도막염이 자주 나타난다. 또다른 합병증은 홍채 절개 부위의 폐쇄, 각막 손상, 전방 출혈, 백내장 발생, 망막 손상 등이 있다.
=== 일시적 안압 상승 ===
=== 일시적 안압 상승 ===
이것은 아르곤, Nd:YAG 레이저 홍채 절개술 후 초기에 나타나는 심각한 후유증 중 가장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이다. 시술 1시간 후에 안압이 최고로 상승되어 보통 3시간 지속된다. 그 원인은 [[혈액 방수 장벽|혈액-방수 장벽]]이 파괴되면서 prostaglandin과 그 유사 물질이 방수로 분비되고 전방각에 혈장과 섬유소가 침착되기 때문이며, 조직 병리학적 소견을 보면 전방각에 조직 파편이 급속히 축적되어 일시적인 안압 상승을 초래한다. 임상적으로 일시적 안압 상승이 올 가능성은 레이저 조사 횟수보다는 시술에 쓰인 총 레이저 에너지와 상관이 있는 듯하다. 그러나 레이저 시술 후 나타나는 안압 상승은 시술 1시간 전과 시술 직후 1% [[아프라클로니딘|apraclonidine]]을  
이것은 아르곤, Nd:YAG 레이저 홍채 절개술 후 초기에 나타나는 심각한 후유증 중 가장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이다. 시술 1시간 후에 안압이 최고로 상승되어 보통 3시간 지속된다. 그 원인은 [[혈액 방수 장벽|혈액-방수 장벽]]이 파괴되면서 prostaglandin과 그 유사 물질이 방수로 분비되고 전방각에 혈장과 섬유소가 침착되기 때문이며, 조직 병리학적 소견을 보면 전방각에 조직 파편이 급속히 축적되어 일시적인 안압 상승을 초래한다. 임상적으로 일시적 안압 상승이 올 가능성은 레이저 조사 횟수보다는 시술에 쓰인 총 레이저 에너지와 상관이 있는 듯하다. 그러나 레이저 시술 후 나타나는 안압 상승은 시술 1시간 전과 시술 직후 1% [[아프라클로니딘|apraclonidine]]을 1방울씩 점안하면 이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br}}클로니딘 점안도 효과적이지만, 클로니딘의 para-amino 유도체인 [[아프라클로니딘|apraclonidine]]은 혈액-뇌 장벽을 적게 통과하기 때문에 클로니딘에 비하여 전신적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좋지만 부작용으로 입마름, 수명, 작열감, 결막 창백, 윗눈꺼풀 상승 등이 있다. 함께 쓰이는 [[필로카르핀|pilocarpine]]은 apraclonidine의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참고|녹내장}}
{{참고|녹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