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스테로이드) |
잔글 (→약물)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플루오로퀴놀론]] (fluoroquinolone) | * [[플루오로퀴놀론]] (fluoroquinolone) | ||
* [[설폰아마이드]]/[[트리메토프림]] | * [[설폰아마이드]]/[[트리메토프림]] | ||
== 치료의 변경 == | |||
치료에 대한 반응은 초기 임상양상의 중중도, 병원균의 독성, 전신적 혹은 국소적인 면역력의 취약성 등 다양한 면이 반영된다. 임상 반웅은 치료를 시작하고 48시간 후에 평가하는 것이 가장 좋다. 녹농균이나 다른 그람 음성균에 의한 각막염은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첫 24-48시간 사이에 염증이 심해질 수 있다 28 일반적으로 48시간 이내에 임상적으로 안정되거나 호전되지 않으면 초기 치료를 변경해야 한다 항생제 치료에 대한 반응은 몇 가지 임상 소견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통증이나 분비물의 양이 감소하는 것, 눈꺼풀 부종이나 결막충혈이 감소하는 것, 결막 침윤의 주변 경계가 명확해지는 것, 침윤의 밀도 혹은 기질 부종이나 내피세포의 염증판이 감소하는 것, 전방 염증이나 상피 결손이 감소하는 것 퉁의 소견이 있다. 배양 및 항균제 감수성 검사 결과는 임상양상이 뚜렷하게 악화되는 경우에만 치료 변경에 참고해야 한다.{{br}}48시간 이후에 악화되면, 원인균이 약물에 감수성이 없거나 환자의 순응도가 나쁜 경우를 생각해야 한다. 반응이 없는 경우 항생제를 적어도 24시간 정도 중단하고 배양 검사를 다시 실시하면 검사의 수득률을 높일 수 있다. 임상 반응에 따라 중증도와 병원균의 독성을 감안하여 점안약의 사용 횟수를 줄여간다. 미생물의 독성이 강하거나 진행이 느린 경우, 안구의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더 오랫동안 치료해야 한다.{{br}}치료 1주일 후에 각막염이 완전히 소실되면 치료를 중단할 수 있다. 이 시기에도 궤양이 진행하고 이전의 배양 검사 결과가 음성이라면 미생물학 검사를 다시 시행하기 전에 치료를 24시간 이상 중단해야 한다. 비감염성 원인이나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움, 노카르디아, 가시아메바와 같은 비전형적인 원인균을 의심해야 하며, 항생제도 그에 맞게 변경해야 한다.{{br}}이전의 배양검사 결과가 양성이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 했는데도 궤양이 진행하는 경우에는 내성균의 존재를 의심해야 한다. 복합균 감염도 전체의 5~56%를 차지하므로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항균제감수성 검사를 다시 시행하고 필요한 경우 치료를 변경해야 한다.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반응이 없는 각막염은 약물독성이나 동반된 안구 표면 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치유되지 않는 무균성 각막 궤양은 각막 상피 치유를 촉진하는 것이 치료의 근간이 된다. 진행이 느리고 치유되지 않는 궤양은 괴사한 각막 실질을 제거하거나 인공 눈물을 자주 점안하고, 임시 눈꺼풀 봉합술을 시행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 | |||
== 스테로이드 == | == 스테로이드 == | ||
=== 효과 === | === 효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