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망막 광응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4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7월 31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범망막 광응고술 (panretinal photocoagulation; PRP)</b>
<b>범망막 광응고술 (panretinal photocoagulation; PRP)</b><ref name="ref1">{{망막}}</ref>
== 역사 ==
== 역사 ==
[[증식 당뇨 망막병증]]을 치료하기 위해 처음에는 강한 에너지의 빛으로 망막의 신생 혈관을 직접 광응고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 때 신생 혈관 주변 넓은 부위의 망막이 함께 지져지면, 흥미롭게도 응고하려 했던 신생 혈관에서 먼 곳의, 직접 광응고하지 않은 신생 혈관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아울러 위축된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 또 여러가지 이유로 한 쪽 눈에 넓게 망막에 퇴행성 변화가 있는 환자나 시신경 위축이 있는 환자, 한쪽에만 심한 근시성 변화가 있는 당뇨병 환자들에서 양안을 비교하니, 망막에 퇴행성 변화가 있는 쪽 눈에서는 당뇨 망막병증이 안 일어났거나 훨씬 덜 일어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위의 두 가지 사실에서 Aiello와 Beetham은 신생혈관을 직접 광응고하지 않고도 망막을 넓게 광응고하여 비교적 무해한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면, 망막의 신생혈관이 줄어들 것으로 생각하였고, 루비 레이저를 써서 환자의 눈에 직접 적용하여 실제로 망막의 신생혈관이 위축됨을 보고하였다.
[[증식 당뇨 망막병증]]을 치료하기 위해 처음에는 강한 에너지의 빛으로 망막의 신생 혈관을 직접 광응고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 때 신생 혈관 주변 넓은 부위의 망막이 함께 지져지면, 흥미롭게도 응고하려 했던 신생 혈관에서 먼 곳의, 직접 광응고하지 않은 신생 혈관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아울러 위축된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 또 여러가지 이유로 한 쪽 눈에 넓게 망막에 퇴행성 변화가 있는 환자나 시신경 위축이 있는 환자, 한쪽에만 심한 근시성 변화가 있는 당뇨병 환자들에서 양안을 비교하니, 망막에 퇴행성 변화가 있는 쪽 눈에서는 당뇨 망막병증이 안 일어났거나 훨씬 덜 일어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위의 두 가지 사실에서 Aiello와 Beetham은 신생혈관을 직접 광응고하지 않고도 망막을 넓게 광응고하여 비교적 무해한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면, 망막의 신생혈관이 줄어들 것으로 생각하였고, 루비 레이저를 써서 환자의 눈에 직접 적용하여 실제로 망막의 신생혈관이 위축됨을 보고하였다.
27번째 줄: 27번째 줄:
=== 유리체 출혈 ===
=== 유리체 출혈 ===
요즈음은 신생 혈관을 직접 광응고하는 경우가 드물어서 광응고 때문에 신생 혈관이 터져 유리체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출혈은 대개 범망막 광응고의 효과가 아직 나타나지 않았거나 광응고의 양이 부족하여,신생혈관의 위축이 완전히 일어나지 못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많다. 열심히 광응고를 하여도 신생 혈관이 위축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다만 신생 혈관에 유착된 투명한 유리체에 광응고가 가해지면 견인이 더 심해져 견인 망막 박리나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신생 혈관 주변에 광응고를 할 때는 유의하여야 한다.
요즈음은 신생 혈관을 직접 광응고하는 경우가 드물어서 광응고 때문에 신생 혈관이 터져 유리체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출혈은 대개 범망막 광응고의 효과가 아직 나타나지 않았거나 광응고의 양이 부족하여,신생혈관의 위축이 완전히 일어나지 못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많다. 열심히 광응고를 하여도 신생 혈관이 위축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다만 신생 혈관에 유착된 투명한 유리체에 광응고가 가해지면 견인이 더 심해져 견인 망막 박리나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신생 혈관 주변에 광응고를 할 때는 유의하여야 한다.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