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 악화 인자 : 건조감 등의 눈 불편감, 밝은 빛, 스트레스, 피로, 운전, 독서 | * 악화 인자 : 건조감 등의 눈 불편감, 밝은 빛, 스트레스, 피로, 운전, 독서 | ||
* 완화 인자 : 수면(75%), 휴식(55%), 하방 주시(27%), 인공눈물 점안(24%), 눈꺼풀 벌리기(22%), 말하기(22%), 노래하기(20%), 콧노래하기(19%), 걷기, 측두부위 마사지 등 | * 완화 인자 : 수면(75%), 휴식(55%), 하방 주시(27%), 인공눈물 점안(24%), 눈꺼풀 벌리기(22%), 말하기(22%), 노래하기(20%), 콧노래하기(19%), 걷기, 측두부위 마사지 등 | ||
== 평가 척도 == | |||
=== 강도 === | |||
* 0 : 없음 | |||
* 1 : 외부 자극 (밝은 빛, 바람, 움직임, 미간 두드림) 에 의해서만 눈깜빡임이 증가 | |||
* 2 : 약하지만 눈에 띄는 정도의 자발적 수축, 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이며, 기능적인 이상은 없음 | |||
* 3 : 매우 눈에 띄는 중등도의 눈꺼풀 연축, 기능 저하와 다른 안면 근육의 약한 수축이 동반됨 | |||
* 4 : 심각한 정도의 눈꺼풀 연축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 ||
* [[반사 눈꺼풀 연축]] | * [[반사 눈꺼풀 연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