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 포트 골절: 두 판 사이의 차이

23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11월 26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분류)
잔글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 Le Fort II 골절 (추체형 골절) : 골절선이 얼굴 중앙부의 코뼈-위턱뼈가 광대뼈와 안와에서 분리되는 선으로 나타난다. 광대뼈 자체는 침범되지 않고 정상적이며, 골절선이 안와의 앞쪽을 지난다.
* Le Fort II 골절 (추체형 골절) : 골절선이 얼굴 중앙부의 코뼈-위턱뼈가 광대뼈와 안와에서 분리되는 선으로 나타난다. 광대뼈 자체는 침범되지 않고 정상적이며, 골절선이 안와의 앞쪽을 지난다.
* Le Fort III 골절 (두개-안면 분리) : 골절이 위턱뼈와 광대뼈가 두개골과 분리되는 선으로 나타난다. 즉 골절선은 광대-이마뼈 봉합선, 안와 바닥, 안와 내벽, 코-벌집뼈 봉합선, 위턱-이마뼈 봉합선으로 나타난다. II 골절에 비하여 좀더 뒤쪽, 위쪽으로 안와를 지난다. 양쪽으로 발생한 Le Fort III 골절은 두개-안면 분리를 일으킨다.
* Le Fort III 골절 (두개-안면 분리) : 골절이 위턱뼈와 광대뼈가 두개골과 분리되는 선으로 나타난다. 즉 골절선은 광대-이마뼈 봉합선, 안와 바닥, 안와 내벽, 코-벌집뼈 봉합선, 위턱-이마뼈 봉합선으로 나타난다. II 골절에 비하여 좀더 뒤쪽, 위쪽으로 안와를 지난다. 양쪽으로 발생한 Le Fort III 골절은 두개-안면 분리를 일으킨다.
== 증상 ==
== 증상 ==
위턱뼈의 골절이 있는 경우 골절 부위에 따라 통증, 코 출혈, 부종, 복시, 안와 아래 가장자리의 계단상 변형, 얼굴의 비대칭, 부정 교합 및 구강내 열상, 뇌척수액 비루 등이 나타나며, 특히 치열궁의 운동성은 골절 부위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소견이다. 부분 골절이나 골절 부위가 압착된 경우에는 운동성이 없을 수 있으므로 이 때는 부정 교합으로 골절 여부를 확인한다.
위턱뼈의 골절이 있는 경우 골절 부위에 따라 통증, 코 출혈, 부종, 복시, 안와 아래 가장자리의 계단상 변형, 얼굴의 비대칭, 부정 교합 및 구강내 열상, 뇌척수액 비루 등이 나타나며, 특히 치열궁의 운동성은 골절 부위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소견이다. 부분 골절이나 골절 부위가 압착된 경우에는 운동성이 없을 수 있으므로 이 때는 부정 교합으로 골절 여부를 확인한다.
14번째 줄: 13번째 줄:
* Le Fort II : 턱사이 고정술을 시행한 다음 골절 부위를 노출시켜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다. 이 때 코-벌집뼈 골절을 동반한 경우가 많으므로 적응증이 되면 함께 치료해야 한다.
* Le Fort II : 턱사이 고정술을 시행한 다음 골절 부위를 노출시켜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다. 이 때 코-벌집뼈 골절을 동반한 경우가 많으므로 적응증이 되면 함께 치료해야 한다.
* Le Fort III : 다른 형태의 골절을 동반하는 복합 골절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는 지금까지 기술된 여러 방법을 동원하여 얼굴 버팀목 역할을 하는 내측(코-위턱) 버팀목과 외측(광대-위턱) 버팀목을 정복 후 금속판을 이용하여 내고정한다.
* Le Fort III : 다른 형태의 골절을 동반하는 복합 골절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는 지금까지 기술된 여러 방법을 동원하여 얼굴 버팀목 역할을 하는 내측(코-위턱) 버팀목과 외측(광대-위턱) 버팀목을 정복 후 금속판을 이용하여 내고정한다.
{{참고|성형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