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재발성 초기 병변 : 각막 상피세포의 작은 수포로, 과거에는 흔히 점상 상피 각막병증으로 기록되었다. 하지만 자세히 관찰하면 이 병변은 매우 작은 융기된 병변으로, 피부나 점막 어디서나 볼 수 있는 HSV의 수포 발진에 해당한다. 대개 이런 병변은 환자들이 병원을 내원하기 전에 발생하기 때문에 임상의들이 관찰하기 어렵다. 이 병변이 발생하면 24시간 이내로 서로 합쳐져 가지모양 병변을 형성하거나 지도모양 궤양을 형성한다. 일부 환자, 특히 면역력이 감소된 환자에서는 병변이 수포 단계에 멈춘 경우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HSV 감염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모든 각막의 수포 병변은 HSV 감염을 의심해야 하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 # 재발성 초기 병변 : 각막 상피세포의 작은 수포로, 과거에는 흔히 점상 상피 각막병증으로 기록되었다. 하지만 자세히 관찰하면 이 병변은 매우 작은 융기된 병변으로, 피부나 점막 어디서나 볼 수 있는 HSV의 수포 발진에 해당한다. 대개 이런 병변은 환자들이 병원을 내원하기 전에 발생하기 때문에 임상의들이 관찰하기 어렵다. 이 병변이 발생하면 24시간 이내로 서로 합쳐져 가지모양 병변을 형성하거나 지도모양 궤양을 형성한다. 일부 환자, 특히 면역력이 감소된 환자에서는 병변이 수포 단계에 멈춘 경우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HSV 감염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모든 각막의 수포 병변은 HSV 감염을 의심해야 하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 ||
# 가지모양 궤양 (dendritic ulcer) : 나무를 뜻하는 그리스어인 dendron에서 기원했으며, 상피의 부종으로서 살아 있는 바이러스를 담고 있고 가지 모양, 선상 병변으로 끝이 뭉툭한 말단 망울(terminal bulb) 모양이다. 이 병변은 실제 궤양으로서 모든 경우에 바닥막을 통과한 상태로 존재한다. 이 병변을 다른 병변과 정확히 감별해내는 것이 치료나 시력의 예후에 대단히 중요하다. 호전된 상피 결손이나 [[대상 포진]]의 거짓 가지모양 각막염이 종종 가지모양 궤양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병변들은 궤양이 아니라 융기된 병변으로, 형광 염색이 되지 않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 # 가지모양 궤양 (dendritic ulcer) : 나무를 뜻하는 그리스어인 dendron에서 기원했으며, 상피의 부종으로서 살아 있는 바이러스를 담고 있고 가지 모양, 선상 병변으로 끝이 뭉툭한 말단 망울(terminal bulb) 모양이다. 이 병변은 실제 궤양으로서 모든 경우에 바닥막을 통과한 상태로 존재한다. 이 병변을 다른 병변과 정확히 감별해내는 것이 치료나 시력의 예후에 대단히 중요하다. 호전된 상피 결손이나 [[대상 포진]]의 거짓 가지모양 각막염이 종종 가지모양 궤양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병변들은 궤양이 아니라 융기된 병변으로, 형광 염색이 되지 않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 ||
# 지도모양 궤양 (geographic ulcer) : 가지모양 궤양이 더 커지면 선상 양상이 소실되고 지도모양으로 진행한다. 지도모양 궤양도 바닥막을 침범하는 실제 궤양이며, 부어있는 경계에 살아 있는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다. 지도 모양의 궤양은 회복 중인 찰과상이나 [[신경 영양 각막염]]과 잘 감별해야 한다. 이들은 대개 가장자리가 부드러우므로 물결 모양의 지도모양 궤양과 감별된다. | # 지도모양 궤양 (geographic ulcer) : 가지모양 궤양이 더 커지면 선상 양상이 소실되고 지도모양으로 진행한다. 지도모양 궤양도 바닥막을 침범하는 실제 궤양이며, 부어있는 경계에 살아 있는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다. 지도 모양의 궤양은 회복 중인 찰과상이나 [[신경 영양 각막염]]과 잘 감별해야 한다. 이들은 대개 가장자리가 부드러우므로 물결 모양의 지도모양 궤양과 감별된다. 역학 보고에 의하면 지도 모양 궤양은 재발 상피 각막염의 약 22%에서 보이며, 일반적으로 가지 모양 궤양에 비해 치유 기간이 길고 증상이 더 길게 나타나며 이전의 국소 스테로이드 사용과 관계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Liesegang 등의 보고에 의하면 약 4%의 재발 상피 각막염만 지도 모양 병변을 나타내며 국소 스테로이드 등의 사용과는 관계가 없다고 한다. | ||
{{참고|각막}} | {{참고|각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