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태 눈꺼풀 연축: 두 판 사이의 차이

538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12월 4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원인)
잔글편집 요약 없음
24번째 줄: 24번째 줄:
* [[반사 눈꺼풀 연축]]
* [[반사 눈꺼풀 연축]]
* [[눈둘레근 파동]]
* [[눈둘레근 파동]]
* [[반쪽 얼굴 연축]]
* [[메이지 증후군]]
* [[눈뜨기 행위 상실증]]
* 신경 변성 질환 : 파킨슨병, 헌팅톤병, 윌슨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진행성 외안근 마비|만성 진행성 외안근 마비]], 뇌염후 증후군 과 같은 다양한 신경 변성 질환들에서 눈꺼풀 연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대뇌 피질과 피질하 질환에서는 본태 눈꺼풀 연축 뿐 아니라, [[반사 눈꺼풀 연축]]과 [[눈뜨기 행위 상실증]]도 나타날 수 있다.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
1.2~11.4% 에서 치료 완화율 (remission rate) 이 보고되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 진행하고 악화될 수 있는 만성 질환이다. 아직 병의 진행을 예방하거나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은 없지만, 증상 완화를 위한 몇 가지 치료법들이 이용되고 있다.{{br}}모든 환자에서 치료의 시작은 눈감김의 악순환을 유발하는 감각신경축 (sensory limb) 을 차단하는 것이다. 즉, 자외선과 밝은 빛을 차단하는 색안경을 착용하거나, 눈꺼풀염을 줄이기 위한 눈꺼풀 위생을 유지하고, 안구 건조를 줄이기 위해 인공 눈물을 점안하고 필요 시 눈물 구멍 마개 삽입술을 고려한다.
1.2~11.4% 에서 치료 완화율 (remission rate) 이 보고되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 진행하고 악화될 수 있는 만성 질환이다. 아직 병의 진행을 예방하거나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은 없지만, 증상 완화를 위한 몇 가지 치료법들이 이용되고 있다.{{br}}모든 환자에서 치료의 시작은 눈감김의 악순환을 유발하는 감각신경축 (sensory limb) 을 차단하는 것이다. 즉, 자외선과 밝은 빛을 차단하는 색안경을 착용하거나, 눈꺼풀염을 줄이기 위한 눈꺼풀 위생을 유지하고, 안구 건조를 줄이기 위해 인공 눈물을 점안하고 필요 시 눈물 구멍 마개 삽입술을 고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