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태 눈꺼풀 연축: 두 판 사이의 차이

1,014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12월 4일 (금)
잔글
28번째 줄: 28번째 줄:
* [[눈뜨기 행위 상실]]
* [[눈뜨기 행위 상실]]
* 신경 변성 질환 : 파킨슨병, 헌팅톤병, 윌슨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만성 진행성 외안근 마비|진행성 외안근 마비]], 뇌염후 증후군 과 같은 다양한 신경 변성 질환들에서 눈꺼풀 연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대뇌 피질과 피질하 질환에서는 본태 눈꺼풀 연축 뿐 아니라, [[반사 눈꺼풀 연축]]과 [[눈뜨기 행위 상실]]도 나타날 수 있다.
* 신경 변성 질환 : 파킨슨병, 헌팅톤병, 윌슨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만성 진행성 외안근 마비|진행성 외안근 마비]], 뇌염후 증후군 과 같은 다양한 신경 변성 질환들에서 눈꺼풀 연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대뇌 피질과 피질하 질환에서는 본태 눈꺼풀 연축 뿐 아니라, [[반사 눈꺼풀 연축]]과 [[눈뜨기 행위 상실]]도 나타날 수 있다.
* 습관 연축 : 틱이라고도 하며 소아에서 종종 볼 수 있다. 같은 행동을 반복하고 (stereotype) 하고, 빈도는 불규칙적이지만 대개 감정적 스트레스 상태에서 발생하고 다른 것에 집중할 때에는 덜 나타날 수 있다. 본태 눈꺼풀 연축과 달리 일시적이나마 자의적으로 눈깜빡임을 중단할 수 있다.
* 정신과적 문제 : 눈꺼풀 연축이 스트레스에 의해 심해지고, 우울, 불안, 인격 장애와 같은 정신병리학적 이상들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다. 과거에는 눈꺼풀 연축이 정신과적 문제로부터 발생한다고 보았으나 최근에는 개념이 바뀌어 눈꺼풀 연축으로 인한 심한 불편감이나 장애가 이러한 정신 이상들을 유발시키거나 악화시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30세 이하의 젊은 환자에서 갑작스럽게 시작된 눈꺼풀 연축은 정신과적인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닌지 의심해 보아야 한다.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