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b>치료 콘택트렌즈 (therapeutic contact lens; TCL)</b> == 역사 == 1800년대 의사인 Xavier Glezowsk가 'Plaquettes' 라는 젤라틴 물질을 이용한 치료용 렌즈...)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중간 두께의 렌즈 | * 중간 두께의 렌즈 | ||
* 초박 (ultrathin) 렌즈 : 두께 0.01~0.16mm, 함수율 약 40% | * 초박 (ultrathin) 렌즈 : 두께 0.01~0.16mm, 함수율 약 40% | ||
== 용도 == | |||
* [[당뇨 망막병증]] 환자에서 망막의 광응고술 시행 시나 공막 함입술 시 각막 상피를 보호하기 위해 | |||
* [[원추 각막]]이나 다른 각막 이상이 있는 질환에서 piggyback 장착 시 환자의 편안감을 위해 | |||
* [[원추 각막]] 환자가 접촉성 스포츠를 할 때 RGP 렌즈 위로 하이드로겔 렌즈를 장착시켜 렌즈 분실을 예방하기 위해 | |||
== 합병증 == | |||
질병이 있는 눈에서 콘택트렌즈 착용 시,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충혈이나 불편감을 호소할 수 있고, 경도의 전방 염증 및 신생혈관이 형성될 수 있다. 기질 궤양의 치료에는 표면 신생혈관이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사실 대부분의 이런 눈은 시력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신생혈관이 형성되는 것은 그리 나쁜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질환에 의한 특이 병변이 있다면, 각막 부종이 간과되기 쉽다. | |||
{{참고|안과검사|콘택트렌즈}} | {{참고|안과검사|콘택트렌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