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532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1월 11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4번째 줄: 14번째 줄:
* [[원추 각막]]이나 다른 각막 이상이 있는 질환에서 piggyback 장착 시 환자의 편안감을 위해
* [[원추 각막]]이나 다른 각막 이상이 있는 질환에서 piggyback 장착 시 환자의 편안감을 위해
* [[원추 각막]] 환자가 접촉성 스포츠를 할 때 RGP 렌즈 위로 하이드로겔 렌즈를 장착시켜 렌즈 분실을 예방하기 위해
* [[원추 각막]] 환자가 접촉성 스포츠를 할 때 RGP 렌즈 위로 하이드로겔 렌즈를 장착시켜 렌즈 분실을 예방하기 위해
== 경과 관찰 ==
건강한 눈보다 질병이 있는 눈에서는 콘택트렌즈 착용 시 렌즈 관련 합병증의 위험도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 처방 후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중요하다. 추적 관찰 시 치료 경과를 살필 수 있고, 렌즈 교체도 가능하다. 대부분의 큰 각막 병변은 콘택트렌즈를 통해서 관찰 가능하며, 렌즈를 제거하거나 장착 시 조심해야 한다. 추적 관찰의 빈도는 원인 질환과 환자에 좌우되게 된다.
== 합병증 ==
== 합병증 ==
질병이 있는 눈에서 콘택트렌즈 착용 시,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충혈이나 불편감을 호소할 수 있고, 경도의 전방 염증 및 신생혈관이 형성될 수 있다. 기질 궤양의 치료에는 표면 신생혈관이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사실 대부분의 이런 눈은 시력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신생혈관이 형성되는 것은 그리 나쁜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질환에 의한 특이 병변이 있다면, 각막 부종이 간과되기 쉽다.
질병이 있는 눈에서 콘택트렌즈 착용 시,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충혈이나 불편감을 호소할 수 있고, 경도의 전방 염증 및 신생혈관이 형성될 수 있다. 기질 궤양의 치료에는 표면 신생혈관이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사실 대부분의 이런 눈은 시력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신생혈관이 형성되는 것은 그리 나쁜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질환에 의한 특이 병변이 있다면, 각막 부종이 간과되기 쉽다.
{{참고|안과검사|콘택트렌즈}}
{{참고|안과검사|콘택트렌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