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교정 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506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1월 15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3번째 줄: 23번째 줄:
== 안전성 ==
== 안전성 ==
최근 미국과 전세계의 연구와 메타 분석 결과에서 각막 교정 렌즈는 매우 드문 합병증 보고로 매우 안전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1,316 명의 환자를 포함한 미국의 대규모 후향적 연구에서, 세균 감염은 두 건에 불과했다 (전통적 하이드로겔 렌즈는 1만 착용 당 19.5건, 실리콘 하이드로겔은 1만 착용 당 25.4건 이었다). 또 다른 29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미국의 후향적 연구에서는, 2기 이상의 각막염이 세 건 보고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각막 교정 렌즈가 적은 합병증으로 시력을 교정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최근 미국과 전세계의 연구와 메타 분석 결과에서 각막 교정 렌즈는 매우 드문 합병증 보고로 매우 안전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1,316 명의 환자를 포함한 미국의 대규모 후향적 연구에서, 세균 감염은 두 건에 불과했다 (전통적 하이드로겔 렌즈는 1만 착용 당 19.5건, 실리콘 하이드로겔은 1만 착용 당 25.4건 이었다). 또 다른 29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미국의 후향적 연구에서는, 2기 이상의 각막염이 세 건 보고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각막 교정 렌즈가 적은 합병증으로 시력을 교정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 착용 후 문제 ==
=== 눈과 렌즈의 유착 ===
아침에 자고 나서 렌즈를 제거하려고 할 때 렌즈가 눈과 유착되는 경우가 있는데 건성안이 있거나, 각막 난시가 작거나, 안구의 경직도가 낮을 때 렌즈와 각막 사이의 눈물층이 얇아지면 눈물의 점도가 높아지므로 이런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이는 렌즈가 가파르게 처방되어 생기는 것도 아니고, 렌즈의 디자인과도 무관하다. 렌즈를 착용시킬 때 인공눈물을 충분히 점안하고, 새벽에도 한 번 더 점안해주는 것이 유착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침에 유착이 되어 있으면 렌즈를 제거하기 전에 인공눈물을 충분히 점안한 후 각막을 약간 눌러서 렌즈와 각막 사이의 공간을 만든 후 렌즈가 움직일 때 조심스럽게 제거한다.
=== 각막 이상 ===
==== 중심부 각막 형광 염색 ====
==== 철분 침착 ====
==== 세균성 각막염 ====
=== 알레르기성 결막염 ===
거대 유두 결막염은 잘 생기지 않지만 생기면 치료하고 다시 렌즈를 착용한다. 계속 지속되면 렌즈 착용을 중단한다.
== 현재와 미래 ==
== 현재와 미래 ==
=== 원시 교정 ===
=== 원시 교정 ===
30번째 줄: 39번째 줄:
* 중심 주변부의 이완부
* 중심 주변부의 이완부
중심부의 clearance는 조직 변형과 각막 경사화를 담당한다. 원시 교정을 위한 후부 광학부 영역은 5~8mm 직경의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치료 영역의 직경은 원시 교정량에 따라 다르다.
중심부의 clearance는 조직 변형과 각막 경사화를 담당한다. 원시 교정을 위한 후부 광학부 영역은 5~8mm 직경의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치료 영역의 직경은 원시 교정량에 따라 다르다.
== 착용 후 문제 ==
=== 눈과 렌즈의 유착 ===
아침에 자고 나서 렌즈를 제거하려고 할 때 렌즈가 눈과 유착되는 경우가 있는데 건성안이 있거나, 각막 난시가 작거나, 안구의 경직도가 낮을 때 렌즈와 각막 사이의 눈물층이 얇아지면 눈물의 점도가 높아지므로 이런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이는 렌즈가 가파르게 처방되어 생기는 것도 아니고, 렌즈의 디자인과도 무관하다. 렌즈를 착용시킬 때 인공눈물을 충분히 점안하고, 새벽에도 한 번 더 점안해주는 것이 유착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침에 유착이 되어 있으면
=== 전망과 미래 ===
=== 전망과 미래 ===
동양인의 각막은 그 크기가 서양에 비해 조금 작거나, 같은 비구면도라도 각막 형태 검사에서 차이가 나므로 서양 사람의 눈과 다르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최근 토릭 렌즈의 영역이 확대되어 난시가 심한 눈에서도 만족스러운 피팅을 얻고 있다. 원시나 노안에 대한 OK 렌즈도 개발되어 있고, 또한 치료 영역의 넓이를 줄이고 BC에 비구면도를 가입하며 역기하 커브와 정렬 커브 디자인을 조정하여 고도 근시에도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이렇듯 새로운 영역의 OK 렌즈의 개발에 따라 앞으로도 점차 활용도와 피팅 영역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동양인의 각막은 그 크기가 서양에 비해 조금 작거나, 같은 비구면도라도 각막 형태 검사에서 차이가 나므로 서양 사람의 눈과 다르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최근 토릭 렌즈의 영역이 확대되어 난시가 심한 눈에서도 만족스러운 피팅을 얻고 있다. 원시나 노안에 대한 OK 렌즈도 개발되어 있고, 또한 치료 영역의 넓이를 줄이고 BC에 비구면도를 가입하며 역기하 커브와 정렬 커브 디자인을 조정하여 고도 근시에도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이렇듯 새로운 영역의 OK 렌즈의 개발에 따라 앞으로도 점차 활용도와 피팅 영역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