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분류)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DMA (dimethylacrylamide) | * DMA (dimethylacrylamide) | ||
== 분류 == | == 분류 == | ||
=== 착용 기간에 따른 분류 === | === 착용 (wear) 기간에 따른 분류 === | ||
* 매일 착용 : 일할 때만 잠시 착용하는 렌즈로 8~16시간 정도 착용한다. 뺀 후에는 세척하거나 소독해서 다시 착용하거나, 일회용 (single use daily disposable) 렌즈의 경우 버린다. | * 매일 (daily) 착용 : 일할 때만 잠시 착용하는 렌즈로 8~16시간 정도 착용한다. 뺀 후에는 세척하거나 소독해서 다시 착용하거나, 일회용 (single use daily disposable) 렌즈의 경우 버린다. | ||
* | * 유연 (flexible) 착용 : 대개는 매일 착용으로 착용하나 때때로 연속 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렌즈이다. 역시 벗은 후에는 세척/소독 과정을 거치거나 버릴 수 있다. | ||
* 연속 (extended) 착용 : 7일까지 낮과 밤을 연속으로 착용하는 렌즈로 정의되는데, ISO에서는 7일이라는 제한을 두지 않고 매일 착용의 반대 개념으로 낮과 밤에 연속으로 착용하는 렌즈를 모두 이 범주로 분류하고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하다. | |||
** 재사용 연속 착용 (reusable extended wear) : 제거한 후 세척/소독 과정을 거친다. 역사적으로 무수정체 혹은 고도의 굴절 이상이 있는 경우 교정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는 1주 간격으로 착용과 세척을 반복하여 한 달까지 연속으로 착용 후 버리는 렌즈가 개발되어 왔다. | |||
** 일회용 연속 착용 (disposable extended wear) : 제거한 후 버린다. | |||
* 지속 (continuous) 착용 : 1970년대 들어 CooperVision 에서 만든 Permalens 등이 3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나 1980년대 들어 이런 렌즈들이 세균 각막염의 빈돌르 높이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결과는 1989년에 출판되었고, 연속적으로 착용하는 일수를 늘리는 만큼 감염이 증가된다는 것을 경고하였다. 이 결과, FDA는 연속 착용 일수를 30일에서 7일로 감소시키면서 연속 착용을 무의미하게 만들었다. 이후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가 등장하면서 지속 착용 렌즈가 다시 등장하였으며 24시간동안 30일간 착용하는 렌즈가 소개되었다. ISO에서는 지속 착용 렌즈를 연속 착용에 포함시켜서 분류하고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렌즈는 이 기간 전에 제거할 수 있으며 제거 후에는 반드시 세척/소독 과정을 거쳐 다시 사용할 수 있다. | |||
=== 교체 주기에 따른 분류 === | |||
* conventional replacement : 매 6~18개월마다 교체 주기를 갖는 렌즈들이다. 일부 환자들은 이보다 더 오래 사용하지만 이는 합병증을 늘리고 착용감을 안 좋게 한다. | |||
* planned replacement : 2주~6개월 이내에 교체되는 렌즈를 말한다. | |||
* 일회용 (disposable) 렌즈 : 착용 후 버리거나 다른 렌즈로 교체하는 렌즈를 가리키며 따라서 세척이나 소독을 거치지 않는다. | |||
** 매일 착용 (daily) 일회용 렌즈 : 하루만 착용하는 렌즈 | |||
** 연속 또는 지속형 (extended or continuous type) 일회용 렌즈 : 7~30일의 착용 주기 후 버리는 렌즈 | |||
== 착용 및 제거 == | == 착용 및 제거 == | ||
=== 착용 방법 === | === 착용 방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