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거대 유두 결막염 (giant papillary conjunctivitis; GPC) "위눈꺼풀판 결막을 침범하는 비감염성 염증 질환으로, 거대 유두(직경 *0mm 이상)가 위눈꺼...)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거대 유두 결막염 (giant papillary conjunctivitis; GPC) | '''거대 유두 결막염 (giant papillary conjunctivitis; GPC)''' 은 위눈꺼풀판 결막을 침범하는 비감염성 염증 질환으로, 거대 유두(직경 1.0mm 이상)가 위눈꺼풀판을 따라 존재하며, 현재는 0.3mm 이상의 유두가 존재하면 이상 소견으로 간주된다. | ||
== 원인 == | == 원인 == | ||
기계적인 외상과 콘택트렌즈 표면의 침착물, 환경적 요소 등의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이 관련 있다. 외상은 일반적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 RGP 콘택트렌즈, 하드 콘택트렌즈 사용과 관련이 있으나, 이외에도 녹내장의 여과포, 증가된 상피하 칼슘 플라크, 윤부 유피낭종, 노출된 각막 및 결막 봉합사, 안내 삽입물, 공막 누름조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기계적인 외상과 콘택트렌즈 표면의 침착물, 환경적 요소 등의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이 관련 있다. 외상은 일반적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 RGP 콘택트렌즈, 하드 콘택트렌즈 사용과 관련이 있으나, 이외에도 녹내장의 여과포, 증가된 상피하 칼슘 플라크, 윤부 유피낭종, 노출된 각막 및 결막 봉합사, 안내 삽입물, 공막 누름조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
17번째 줄: | 15번째 줄: | ||
== 예후 및 합병증 == | == 예후 및 합병증 == | ||
예후는 좋은 편이다. 이 질환으로 인해 영구적으로 시력이 소실된 예는 보고된 바 없으며, 대부분의 환자가 콘택트렌즈 착용을 중지하면 증상이 호전된다. 이 질환은 증상에 대해 일찍 인지하고 적극적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한 경우는 렌즈 관리나 렌즈 착용 스케쥴의 변화만으로도 좋아질 수 있다. 진행된 경우 렌즈 사용을 중단하고 단기간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언제든 재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예후는 좋은 편이다. 이 질환으로 인해 영구적으로 시력이 소실된 예는 보고된 바 없으며, 대부분의 환자가 콘택트렌즈 착용을 중지하면 증상이 호전된다. 이 질환은 증상에 대해 일찍 인지하고 적극적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한 경우는 렌즈 관리나 렌즈 착용 스케쥴의 변화만으로도 좋아질 수 있다. 진행된 경우 렌즈 사용을 중단하고 단기간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언제든 재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
{{참고|각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