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K = 43.00 / 43.50 → FK = 42.75 (또는 43.00) | K = 43.00 / 43.50 → FK = 42.75 (또는 43.00) | ||
=== target power (TP) 선택 | === target power (TP) 선택 === | ||
원래 각막의 flat K 와 위의 방법으로 결정한 FK가 동일한 경우에는 자동 곡률계 (AR) 의 구면 도수를 TP로 하고 부가적으로 0.5D 를 더해준다. 난시 정도에 따라 FK가 달라지기 때문에 AR 상의 난시 도수는 계산되지 않는다. | 원래 각막의 flat K 와 위의 방법으로 결정한 FK가 동일한 경우에는 자동 곡률계 (AR) 의 구면 도수를 TP로 하고 부가적으로 0.5D 를 더해준다. 난시 정도에 따라 FK가 달라지기 때문에 AR 상의 난시 도수는 계산되지 않는다. | ||
예 : K = 43.00 / 44.00, AR = -3.00 -0.50 ×180 → FK = 43.00, TP = -3.50 D | 예 : K = 43.00 / 44.00, AR = -3.00 -0.50 ×180 → FK = 43.00, TP = -3.50 D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K = 43.00 / 43.50, AR = -3.00 Dsph → FK = 42.75, TP = -3.25 D | K = 43.00 / 43.50, AR = -3.00 Dsph → FK = 42.75, TP = -3.25 D | ||
그러나 근시 진행이 빠른 성장기 학생이나 수면이 부족한 학생의 경우 시력이 충분히 나오지 않으면 기존의 TP보다 0.25~0.50D 더 올려도 좋다. | 그러나 근시 진행이 빠른 성장기 학생이나 수면이 부족한 학생의 경우 시력이 충분히 나오지 않으면 기존의 TP보다 0.25~0.50D 더 올려도 좋다. | ||
=== 편심율 (e; eccentricity)결정 === | |||
지형도나 각막계의 temporal K로 편심율을 결정한다. 평균에 가까우면 (e=0.45~0.55) 진단 세트의 렌즈를 최초의 렌즈로 fitting 한다. 그러나 편심율이 낮거나 (0.4) 높을 때 (0.6) 는 렌즈의 편심율을 다르게 하거나 진단 세트에 있는 다른 렌즈로 fitting 해본다. | |||
만약 편심율이 낮은 각막의 경우는 | |||
{{참고|콘택트렌즈}} | {{참고|콘택트렌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