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지형도나 각막계의 temporal K로 편심율을 결정한다. 평균에 가까우면 (e=0.45~0.55) 진단 세트의 렌즈를 최초의 렌즈로 fitting 한다. 그러나 편심율이 낮거나 (0.4) 높을 때 (0.6) 는 렌즈의 편심율을 다르게 하거나 진단 세트에 있는 다른 렌즈로 fitting 해본다. | 지형도나 각막계의 temporal K로 편심율을 결정한다. 평균에 가까우면 (e=0.45~0.55) 진단 세트의 렌즈를 최초의 렌즈로 fitting 한다. 그러나 편심율이 낮거나 (0.4) 높을 때 (0.6) 는 렌즈의 편심율을 다르게 하거나 진단 세트에 있는 다른 렌즈로 fitting 해본다. | ||
만약 편심율이 낮은 각막의 경우는 | 만약 편심율이 낮은 각막의 경우는 세트의 렌즈로 43.00, -3.00, 5e로 하여 바람직하지 않을 때에는 FK를 가파르게, TP는 높게 합니다. | ||
43.00, -3.00, 5e → 43.00, -3.00, 4e 또는 43.50, -3.50, 5e | |||
만약 편심율이 높을 때에는 FK를 편평하게, TP는 낮게 합니다. | |||
43.00, -3.00, 5e → 43.00, -3.00, 6e 또는 42.50, -2.50, 5e | |||
=== 직경 (OAD) 결정 === | |||
만약 K값이 아주 가파르거나 편평하지 않을 때에는 진단 세트에 있는 직경 (10.6mm) 으로 한다. 그러나 아주 가파를 때는 (≥46.0D) 10.0mm, 아주 편평할 때는 (≤40.5D) 11.0mm 로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주 특별하지 않을 때에는 가능하면 10.6mm 로 한다. | |||
{{참고|콘택트렌즈}} | {{참고|콘택트렌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