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천 색각 이상: 두 판 사이의 차이

287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3월 26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b>후천 색각 이상 (acquired color blindenss)</b> 은 망막, 시신경, 대뇌 피질에 생기는 다양한 질병에 의해 발생한다. 후천적 색각 이상을 일으키...)
 
잔글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13번째 줄:
# 2형 : 적록색의 판별 능력이 중등도에서 심한 정도로 떨어지고, 이에 비해 경미한 청황색의 판별 능력의 장애를 동반한다. 시신경을 침범하는 시신경염, 시신경 위축, 시신경이나 교차 부위의 종양, 약제의 복용 등에서 특징적으로 보이는 색각 이상의 형태이다.
# 2형 : 적록색의 판별 능력이 중등도에서 심한 정도로 떨어지고, 이에 비해 경미한 청황색의 판별 능력의 장애를 동반한다. 시신경을 침범하는 시신경염, 시신경 위축, 시신경이나 교차 부위의 종양, 약제의 복용 등에서 특징적으로 보이는 색각 이상의 형태이다.
# 3형 : 임상적으로 가장 흔히 접할 수 있으며, 주로 청황색각 이상을 보인다. 경도에서 중등도의 시력 저하를 동반한다. 당뇨와 같은 망막 혈관 질환, 망막과 맥락막의 변성과 염증, 나이 관련 황반 변성, 유두 부종, 녹내장, 상염색체 우성 시신경 위축, [[시신경염]] 등에서 보일 수 있다.
# 3형 : 임상적으로 가장 흔히 접할 수 있으며, 주로 청황색각 이상을 보인다. 경도에서 중등도의 시력 저하를 동반한다. 당뇨와 같은 망막 혈관 질환, 망막과 맥락막의 변성과 염증, 나이 관련 황반 변성, 유두 부종, 녹내장, 상염색체 우성 시신경 위축, [[시신경염]] 등에서 보일 수 있다.
=== 녹내장 ===
주로 청황색각 이상이 나타나며 색각 검사가 비색각 검사보다 더 예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중추 신경 장애 ===
=== 중추 신경 장애 ===
두 가지의 큰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두 가지의 큰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색각 자체는 정상이나 색을 명명하거나 인지 능력 장애를 보이는 경우, 베르니케 실어증이 대표적이다.
# 색각 자체는 정상이나 색을 명명하거나 인지 능력 장애를 보이는 경우, 베르니케 실어증이 대표적이다.
# 색각 자체를 구분하지 못하는 진정한 의미의 색각 이상
# 색각 자체를 구분하지 못하는 진정한 의미의 색각 이상
=== 그 외 ===
백내장, 인공수정체안, 시신경병증, 파킨슨병 등 여러 안과적 및 전신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다.
{{참고|망막}}
{{참고|망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