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 선천 흑암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3월 13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레버 선천 흑암시 (Leber congenital amaurosis; LCA) 는 단일 질환이 아니라, 영아기 때부터 심각한 시력 저하를 보이는 일종의 질환군이다. 1869년 T...)
 
잔글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대부분의 경우는 <span style='color:blue;'>상염색체 열성</span> 형태의 유전 양상을 띠지만, 아주 간혹 상염색체 우성 형태가 보고되기도 한다. 관여하는 유전자는 14개가 밝혀져 있으며 그 중에서 CEP290, GUCY2D, CRB1의 변이 빈도가 높다. 하지만 아직까지 더 많은 유전자가 이와 연관이 있으리라 여겨지며, 이런 관련 유전자의 발견은 유전 치료의 가능성을 넓힘에 있어서 중요하다.
대부분의 경우는 <span style='color:blue;'>상염색체 열성</span> 형태의 유전 양상을 띠지만, 아주 간혹 상염색체 우성 형태가 보고되기도 한다. 관여하는 유전자는 14개가 밝혀져 있으며 그 중에서 CEP290, GUCY2D, CRB1의 변이 빈도가 높다. 하지만 아직까지 더 많은 유전자가 이와 연관이 있으리라 여겨지며, 이런 관련 유전자의 발견은 유전 치료의 가능성을 넓힘에 있어서 중요하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대체로 고도 원시를 보이며, 색소 침착으로 경계 지어진 황반 결손을 동반하기도 한다. 또한 원추 각막을 동반하는 경우도 보고되었다.
대체로 고도 원시를 보이며, 색소 침착으로 경계 지어진 황반 결손을 동반하기도 한다. 또한 [[원추 각막]]을 동반하는 경우도 보고되었다.
== 검사 및 진단 ==
== 검사 및 진단 ==
* 망막 전위도 : 1954년 Franceschcetti & Dieterle의 연구에 의하면 망막 전위도 상 반응이 없는 것이 발견되어 (flat ERG), 확진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검사가 되었다.
* 망막 전위도 : 1954년 Franceschcetti & Dieterle의 연구에 의하면 망막 전위도 상 반응이 없는 것이 발견되어 (flat ERG), 확진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검사가 되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