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유발 전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500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5월 24일 (월)
잔글
잔글 (→‎원리)
11번째 줄: 11번째 줄:
== 지표 ==
== 지표 ==
=== 진폭 (amplitude) ===
=== 진폭 (amplitude) ===
하나의 파형 요소의 가장 높은 정점에서 선행하는 파형 요소의 가장 낮은 최저점까지 반응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 때 진폭은 주로 ㎶로 표현된다. 섬광 VEP에서 파형의 요소들은 그들의 전압 극성에 따라 N1, P1, N2, … 와 같이 연속적으로 명명된다. 문양 VEP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N75, P100, N135 등이 있다. N, P는 각각 기준 전극에 기록되는 전압에 대하여, 후두엽 부위에 부착된 전극에서 기록되는 음의 전압과 양의 전압을 각각 뜻한다. 여기서 각 문자 뒤에 첨부된 숫자는 밀리초 (ms) 로 표시된 정상 요소에서의 최고 잠복기 시간을 의미한다. 잠복기의 절대값은 진폭의 절대값보다 훨씬 신뢰할 수 있다. 반복하여 측정하였을 때, 정상 개체에서 나타나는 잠복기의 변화가 약 2~5% 정도인 반면, 진폭의 경우 시간을 달리하여 측정하는 경우 약 25%의 높은 변화율을 보이기 때문이다.
하나의 파형 요소의 가장 높은 정점에서 선행하는 파형 요소의 가장 낮은 최저점까지 반응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 때 진폭은 주로 ㎶로 표현된다. 섬광 VEP에서 파형의 요소들은 그들의 전압 극성에 따라 N1, P1, N2, … 와 같이 연속적으로 명명된다. 문양 VEP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N75, P100, N135 등이 있다. N, P는 각각 기준 전극에 기록되는 전압에 대하여, 후두엽 부위에 부착된 전극에서 기록되는 음의 전압과 양의 전압을 각각 뜻한다. 여기서 각 문자 뒤에 첨부된 숫자는 밀리초 (ms) 로 표시된 정상 요소에서의 최고 잠복기 시간을 의미한다. 잠복기의 절대값은 진폭의 절대값보다 훨씬 신뢰할 수 있는데, 이는 진폭이 정상인에서도 개인차가 크고 환자의 집중도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반복하여 측정하였을 때, 정상 개체에서 나타나는 잠복기의 변화가 약 2~5% 정도인 반면, 진폭의 경우 시간을 달리하여 측정하는 경우 약 25%의 높은 변화율을 보인다.
* P1 (또는 P100) : 자극 후 약 100ms 에 나타나는 양성 파형이며, 지연되면 외슬상체 앞쪽의 구심 경로에 이상이 있음을 반영한다. 염증성 시신경병증과 압박 시신경병증을 포함한 대부분의 시신경병증에서는 대개 잠복기가 지연된다. 허혈 시신경병증에서는 잠복기는 정상이고 진폭이 더욱 감소한다.


== 질환에 따른 결과 ==
== 질환에 따른 결과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