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 바이트 제거됨 ,  2021년 5월 27일 (목)
잔글
11번째 줄: 11번째 줄:
* 조절 부족 (lag of accommodation) : 과도한 근거리 작업이 조절 부족을 일으켜 망막 뒤쪽에 초점이 맺히게 되는 원시성 초점 흐림을 야기하고 안축장 길이를 증가시키는 신호로 작용되어 근시를 유발한다.
* 조절 부족 (lag of accommodation) : 과도한 근거리 작업이 조절 부족을 일으켜 망막 뒤쪽에 초점이 맺히게 되는 원시성 초점 흐림을 야기하고 안축장 길이를 증가시키는 신호로 작용되어 근시를 유발한다.
== 소아, 청소년기의 진행 양상 ==
== 소아, 청소년기의 진행 양상 ==
한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4, 5기 자료를 이용하여 시행한 연구
한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4, 5기 자료를 이용하여 시행한 연구<ref>정승일 외,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2) 자료를 이용한 소아의 근시 진행 경향에 대한 분석, JKOS, 2016 [https://www.jkos.org/upload/pdf/JKOS057-09-13.pdf 연결]</ref>
<ref>정승일 외,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2) 자료를 이용한 소아의 근시 진행 경향에 대한 분석, JKOS, 2016 [https://www.jkos.org/upload/pdf/JKOS057-09-13.pdf 연결]</ref>
에서, 5~20세 연령의 대상자에서 연령이 늘어남에 따라 근시 비율 및 정도가 심해지는 양상을 확인했다. 연령별 굴절값의 변화를 보면, 7.5~11.9세까지 4~5년에 걸쳐서 전체 굴절 변화의 50%가 일어나, 이 시기가 근시 진행이 매우 빠른 시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7.5~9.1세까지 1.6년 정도에 걸쳐서 전체 굴절 변화의 25%가 일어났으며, 이 시기의 근시 진행 정도가 -0.46 D/연 으로 가장 빨랐다. 또한 16세경의 굴절값이 20세경의 굴절값과 비슷하였다. 또한 16세 이후로 굴절값의 변화가 적다는 점을 고려할 때, 16세경 전후로 근시 진행이 멈출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었다.
에서, 5~20세 연령의 대상자에서 연령이 늘어남에 따라 근시 비율 및 정도가 심해지는 양상을 확인했다. 연령별 굴절값의 변화를 보면, 7.5~11.9세까지 4~5년에 걸쳐서 전체 굴절 변화의 50%가 일어나, 이 시기가 근시 진행이 매우 빠른 시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7.5~9.1세까지 1.6년 정도에 걸쳐서 전체 굴절 변화의 25%가 일어났으며, 이 시기의 근시 진행 정도가 -0.46 D/연 으로 가장 빨랐다. 또한 16세경의 굴절값이 20세경의 굴절값과 비슷하였다. 또한 16세 이후로 굴절값의 변화가 적다는 점을 고려할 때, 16세경 전후로 근시 진행이 멈출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