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비늘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6 바이트 제거됨 ,  2021년 5월 31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거짓 비늘 증후군을 가진 사람에게서 모두 녹내장이 유발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발생률도 보고에 따라 매우 다양하나 일반적으로는 약 40%에서 녹내장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거짓 비늘 증후군을 가진 사람에게서 모두 녹내장이 유발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발생률도 보고에 따라 매우 다양하나 일반적으로는 약 40%에서 녹내장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개방각 녹내장은 방수 유출 부위의 거짓비늘물질 생성, 섬유주 내피세포 손상, 그리고 전안부에서 만들어진 거짓비늘물질과 색소의 수동적인 침착에 의해 생긴다. 색소 분산은 녹내장의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까지 완전히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거짓비늘 침착으로 인한 거친 수정체막에 홍채 상피세포가 마찰되어 발생하거나 홍채 자체의 결함으로 인한 색소 분산으로 생각되고 있다.
개방각 녹내장은 방수 유출 부위의 거짓 비늘 물질 생성, 섬유주 내피세포 손상, 그리고 전안부에서 만들어진 거짓비늘 물질과 색소의 수동적인 침착에 의해 생긴다. 색소 분산은 녹내장의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까지 완전히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거짓비늘 침착으로 인한 거친 수정체막에 홍채 상피세포가 마찰되어 발생하거나 홍채 자체의 결함으로 인한 색소 분산으로 생각되고 있다.
== 분류 ==
== 분류 ==
* 대부분 개방각 녹내장
* 개방각 녹내장 : 대부분
* 드물게 폐쇄각 녹내장의 양상을 보이기도 하므로 홍채뒤 유착, 섬모체 소대의 약화와 연관된 수정체의 운동, 홍채 경직도의 증가, 작은 동공 등과 연관된 폐쇄각 녹내장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폐쇄각 녹내장 : 드물게 보이기도 하므로 홍채뒤 유착, 섬모체 소대의 약화와 연관된 수정체의 운동, 홍채 경직도의 증가, 작은 동공 등과 연관된 폐쇄각 녹내장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원발 개방각 녹내장보다 안압이 더 높고, 하루 변동도 심하고, 조절도 어려우며, 진행도 고안압 개방각 녹내장 및 정상 안압 녹내장에 비해 빠르다.
원발 개방각 녹내장보다 안압이 더 높고, 하루 변동도 심하고, 조절도 어려우며, 진행도 고안압 개방각 녹내장 및 정상 안압 녹내장에 비해 빠르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