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위험 인자) |
잔글 (→예후)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전방각경 검사에서 개방각이며 안압은 21 mmHg 이상으로 상승되어 있어, 증상이 없는 [[만성 개방각 녹내장]]과 유사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ref>Kersey JP et al. Corticosteroid-induced glaucoma: a review of the literature. Eye (Lond). 2006 Apr;20(4):407-16. [https://pubmed.ncbi.nlm.nih.gov/15877093/ 연결]</ref>. 강한 스테로이드로 집중적인 점안 또는 전신 치료를 받은 경우에는 드물에 급성 녹내장의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환자의 나이와 안구의 상태에 따라서 임상 형태가 달라지기도 한다. 그 예로 스테로이드로 치료를 받은 유아는 [[선천 녹내장]]의 양상을 나타내나 나이든 사람은 [[정상 안압 녹내장]]의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현재 정상 안압 녹내장이라고 추정하는 환자들도 과거에 스테로이드 치료로 인한 안압 상승의 손상이 있었을 가능성을 항상 유념해야 한다. | 전방각경 검사에서 개방각이며 안압은 21 mmHg 이상으로 상승되어 있어, 증상이 없는 [[만성 개방각 녹내장]]과 유사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ref>Kersey JP et al. Corticosteroid-induced glaucoma: a review of the literature. Eye (Lond). 2006 Apr;20(4):407-16. [https://pubmed.ncbi.nlm.nih.gov/15877093/ 연결]</ref>. 강한 스테로이드로 집중적인 점안 또는 전신 치료를 받은 경우에는 드물에 급성 녹내장의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환자의 나이와 안구의 상태에 따라서 임상 형태가 달라지기도 한다. 그 예로 스테로이드로 치료를 받은 유아는 [[선천 녹내장]]의 양상을 나타내나 나이든 사람은 [[정상 안압 녹내장]]의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현재 정상 안압 녹내장이라고 추정하는 환자들도 과거에 스테로이드 치료로 인한 안압 상승의 손상이 있었을 가능성을 항상 유념해야 한다. | ||
== 예후 == | == 예후 == | ||
대부분의 환자들에서 스테로이드 투여를 중단하고 안압 하강제,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을 통해 안압이 조절되지만<ref>Rubin B et al. The effect of SLT on IOP in patients with intravitreal steroid-induced elevated IOP. J Glaucoma. 2008 Jun-Jul;17(4):287-92. [https://pubmed.ncbi.nlm.nih.gov/18552614/ 연결]</ref> 약 3%에서는 회복 불가능한 시신경 손상이 발생하여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으로 명명되고 | 대부분의 환자들에서 스테로이드 투여를 중단하고 안압 하강제,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을 통해 안압이 조절되지만<ref>Rubin B et al. The effect of SLT on IOP in patients with intravitreal steroid-induced elevated IOP. J Glaucoma. 2008 Jun-Jul;17(4):287-92. [https://pubmed.ncbi.nlm.nih.gov/18552614/ 연결]</ref> 약 3%에서는 회복 불가능한 시신경 손상이 발생하여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으로 명명되고, 1~5%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한다.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 ||
가장 중요한 것은 <span style='color:blue;'>약물을 중단</span>하는 것이다. 지속적인 스테로이드의 사용이 필요할 때에는 안압 상승 효과가 적은 medrysone이나 fluorometholone과 같은 것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안압은 수 일에서 수 주 이내에 정상으로 돌아오나 약물 복용 기간이 오래된 경우에는 안압의 정상화에 영향을 미친다. 안압의 조절을 원칙적으로 원발 개방각 녹내장과 같다. | 가장 중요한 것은 <span style='color:blue;'>약물을 중단</span>하는 것이다. 지속적인 스테로이드의 사용이 필요할 때에는 안압 상승 효과가 적은 medrysone이나 fluorometholone과 같은 것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안압은 수 일에서 수 주 이내에 정상으로 돌아오나 약물 복용 기간이 오래된 경우에는 안압의 정상화에 영향을 미친다. 안압의 조절을 원칙적으로 원발 개방각 녹내장과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