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9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증상)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여러 안내 질환에 동반되어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다른 전신 질환이나 안질환과 연관 없이 특발성으로 발생한다. | 여러 안내 질환에 동반되어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다른 전신 질환이나 안질환과 연관 없이 특발성으로 발생한다. | ||
== 증상 == | == 증상 == | ||
막이 얇거나 위치가 황반 중심을 벗어나 있는 경우는 대부분 증상이 없으나, 진행하면 망막의 주름 및 견인, 황반 부종 등을 일으켜 시력 저하 및 변형시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ref>Sidd RJ et al. Idiopathic preretinal gliosis. AJO. 1982 Jul;94(1):44-8. [https://pubmed.ncbi.nlm.nih.gov/7091281/ 연결]</ref>. | 막이 얇거나 위치가 황반 중심을 벗어나 있는 경우는 대부분 증상이 없으나, 진행하면 망막의 주름 및 견인, 황반 부종 등을 일으켜 시력 저하 및 변형시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ref>Sidd RJ et al. Idiopathic preretinal gliosis. AJO. 1982 Jul;94(1):44-8. [https://pubmed.ncbi.nlm.nih.gov/7091281/ 연결]</ref><ref>You Q et al. Prevalence and associations of ERM in adult Chinese: the Beijing eye study. Eye (Lond). 2008 Jul;22(7):874-9. [https://pubmed.ncbi.nlm.nih.gov/17384574/ 연결]</ref>.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 ||
망막앞막을 동반하는 [[유리체-황반 견인 증후군]], 백내장 수술 후 낭포 황반 부종, 망막 과오종, 망막앞막과 동반된 [[가성 황반 원공]]과 전층 황반 원공의 감별이다. 상세한 세극등 안저 검사와 함께 OCT, FA가 도움이 된다. 관리와 예후가 망막앞막과 다르므로 감별이 중요하다. | 망막앞막을 동반하는 [[유리체-황반 견인 증후군]], 백내장 수술 후 낭포 황반 부종, 망막 과오종, 망막앞막과 동반된 [[가성 황반 원공]]과 전층 황반 원공의 감별이다. 상세한 세극등 안저 검사와 함께 OCT, FA가 도움이 된다. 관리와 예후가 망막앞막과 다르므로 감별이 중요하다. |